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19번 문제 해설 – 과학 발전 단계 강화 약화

문제

19. 다음 글의 (가)를 강화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쿤은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모두를 포함하는 과학의 발전 단계를 세 시기로 구분한다. 패러다임을 한 번도 정립하지 못한 전정상과학 시기, 하나의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정상과학 시기, 기존 패러다임이 새 패러다임으로 교체되는 과학혁명 시기가 그것이다. 패러다임은 모든 과학자에게 동일한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을 따르게 하여,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고 과학의 발전 단계를 성숙한 수준으로 올려놓는다. 한 번도 패러다임을 정립하지 못해 전정상과학 시기에 머물러 있는 과학 분야는 과학자 모두가 제각기 연구 활동을 한다. 과학의 발전 단계상 성숙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다. 어떤 과학 분야라도 패러다임을 정립하면 정상과학 시기에 들어서게 되는데, 그 뒤에 다시 전정상과학 시기로 되돌아갈 수는 없다. 정상과학 시기는 언제나 과학혁명 시기로 이어지고, 과학혁명 시기는 언제나 정상과학 시기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정상과학 시기의 과학자는 동일한 패러다임에 따라, 과학혁명 시기의 과학자는 기존 패러다임 혹은 새 패러다임에 따라 과학 활동을 하기에 그 두 시기에 있는 과학 분야는 모두 성숙한 수준에 도달해 있는 것이다. 이 구분에 따를 때, (가) 일부 사회과학 분야는 과학의 발전 단계상 아직도 성숙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 쿤의 진단이다.

① 패러다임이 교체된 적이 있지만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동일한 사회과학 분야가 있다.

② 패러다임이 교체되는 중이고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서로 다른 사회과학 분야가 있다.

③ 패러다임이 정립된 적이 있지만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서로 다른 사회과학 분야가 있다.

④ 패러다임이 정립된 적이 없고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서로 다른 사회과학 분야가 있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성숙한
수준 X
전정상과학
시기
  • 패러다임을 정립하지 못했다.
  •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서로 다르다.
성숙한
수준
정상과학
시기
  • 패러다임을 정립했다.
  •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동일하다.
과학혁명
시기
  • 기존 패러다임이 새 패러다임으로 교체되는 시기이다.
  •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동일하다.
한 번도 패러다임을 정립하지 못해 전정상과학 시기에 머물러 있는 과학 분야는 과학자 모두가 제각기 연구 활동을 한다. 과학의 발전 단계상 성숙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이다.

패러다임은 모든 과학자에게 동일한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을 따르게 하여,

이 구분에 따를 때, (가) 일부 사회과학 분야는 과학의 발전 단계상 아직도 성숙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 쿤의 진단이다.

(가)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성숙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은 전정상과학 시기와 일치하는 내용이 제시되어야 한다.

 

④ 패러다임이 정립된 적이 없고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서로 다른 사회과학 분야가 있다.

전정상과학 시기에는 패러다임이 정립된 적이 없고, 패러다임이 정립되지 않아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 및 평가 기준이 서로 다르다.

 

정답은 ④번이다.

2025 국가직 9급 국어 문제 해설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