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국가직 9급 국어 나책형 4번 문제 해설 – 전통적 독자층

문제

4. 다음 글을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우리는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다양한 영역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문학 영역도 마찬가지였다. 이전과 뚜렷이 구별되는 유형과 성격의 문학작품이 등장하였고, 이에 따라 다양한 독자층이 새롭게 형성되었다. 20세기 초 우리나라의 문학 독자층은 흔히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하나는 구활자본 고전소설과 일부 신소설의 독자인 ‘전통적 독자층’이고, 다른 하나는 이 시기 새롭게 등장하여 유행하기 시작한 대중소설, 번안소설, 신문 연재 통속소설을 즐겨 봤던 ‘근대적 대중 독자층’이다. 전통적 독자층에는 노동자와 농민, 양반, 부녀자 등이 속하고,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는 도시 노동자, 학생, 신여성 등이 속했다.

그런데 20세기 초 문학 독자층 중에는 전통과 근대의 두 범주에 귀속시키기 어려운 독자층도 존재했다. 이 시기 신문학의 순수문학 작품,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순수문학 소설 등을 향유했던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다. 문자를 익숙하게 다루고 외국어를 지속적으로 습득한 지식인층은 근대적 대중 독자층과는 다른 문학적 향유 양상을 보여 주었던 것이다. 이들은 ‘엘리트 독자층’이라고 부를 수 있다.

①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서 엘리트 독자층이 분화되어 나왔다.

② 20세기 초의 문학 독자층을 구분하는 기준은 신분과 학력이었다.

③ 엘리트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은 우리나라 문학작품 외에도 외국 소설을 읽었다.

④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은 전통적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보다 경제적으로 부유했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서 엘리트 독자층이 분화되어 나왔다.

20세기 초 문학 독자층 중에는 전통과 근대의 두 범주에 귀속시키기 어려운 독자층도 존재했다.
전통적 독자층 구활자본 고전소설과 일부 신소설의 독자
근대적 대중 독자층 대중소설, 번안소설, 신문 연재 통속소설의 독자
엘리트 독자층 신문학의 순수문학 작품,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순수문학 소설 등을 향유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서 엘리트 독자층이 분화되어 나왔다는 것은 윗글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20세기 초의 문학 독자층을 구분하는 기준은 신분과 학력이었다.

전통적 독자층에는 노동자와 농민, 양반, 부녀자 등이 속하고,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는 도시 노동자, 학생, 신여성 등이 속했다.

문자를 익숙하게 다루고 외국어를 지속적으로 습득한 지식인층들을 ‘엘리트 독자층’이라고 부를 수 있다.

신분과 학력에 대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엘리트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은 우리나라 문학작품 외에도 외국 소설을 읽었다.

이 시기 신문학의 순수문학 작품, 일본을 비롯한 외국의 순수문학 소설 등을 향유했던 사람들이 바로 그들이다.

문자를 익숙하게 다루고 외국어를 지속적으로 습득한 지식인층은 근대적 대중 독자층과는 다른 문학적 향유 양상을 보여 주었던 것이다.

이들은 ‘엘리트 독자층’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은 전통적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보다 경제적으로 부유했다.

전통적 독자층에는 노동자와 농민, 양반, 부녀자 등이 속하고,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는 도시 노동자, 학생, 신여성 등이 속했다.

근대적 대중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이 전통적 독자층에 속한 사람들보다 경제적으로 부유했다고 추론할 만한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5 국가직 9급 국어 문제 해설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