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어]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15번 해설 – 기업 마케팅 프로젝트 명제 논리

개요

다음은 2024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1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15. 다음 글의 ㉠과 ㉡에 대한 평가로 올바른 것은?

기업의 마케팅 프로젝트를 평가할 때는 유행지각, 깊은 사고, 협업을 살펴본다. 유행지각은 유행과 같은 새로운 정보를 반영했느냐, 깊은 사고는 마케팅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분석해서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내었느냐, 협업은 일하는 사람들이 해결책을 공유하며 성과를 창출했느냐를 따진다. ㉠ 이 세 요소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마케팅 프로젝트가 성공적이기 위해 필수적이다. 하지만 ㉡ 이 세 요소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다고 해서 마케팅 프로젝트가 성공한 것은 아니다.

① 지금까지 성공한 프로젝트가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다면, ㉠은 강화된다.

② 성공하지 못한 프로젝트 중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중 하나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사례가 있다면, ㉠은 약화된다.

③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중 하나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했지만 성공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은 강화된다.

④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은 약화된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명제: A → B (참)

역: B → A (항상 참X)

이: ~A → ~B (항상 참X)

대우: ~B → ~A (참)

 

이 세 요소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마케팅 프로젝트가 성공적이기 위해 필수적이다.

유행지각, 깊은 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마케팅 프로젝트가 성공적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이를 명제 논리 기호로 표현하면,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 세 요소 목표 달성

이와 같다. 이 명제와 동치인 것은 ‘대우’이다.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위 명제의 대우는 이와 같다.

 

이 세 요소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다고 해서 마케팅 프로젝트가 성공한 것은 아니다.

유행지각, 깊은 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마케팅 프로젝트가 성공적이기 위한 충분조건이 될 수 없다는 뜻이다.

명제 논리로 기호화하면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항상 참X)

이다.

이 명제는 ㉠의 ‘역’과 같다. 어떤 명제가 참이라고 해서 그 명제 ‘역’ 역시 항상 참이라고 말할 수 없다.

① 지금까지 성공한 프로젝트가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다면, ㉠은 강화된다.

보기를 명제 논리로 기호화하면,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 세 요소 목표 달성

이므로, ㉠과 같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성공하지 못한 프로젝트 중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중 하나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사례가 있다면, ㉠은 약화된다.

보기를 명제 논리로 기호화하면,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 ~세 요소 목표 달성

이다.

㉠의 대우는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참)

이다.

㉠의 대우에 따르면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중 하나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다면, 마케팅 프로젝트는 성공하지 못한다.

보기에 따라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와 ‘~세 요소 목표 달성’ 모두가 참이라면,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은 타당하다.

그러므로 성공하지 못한 프로젝트 중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중 하나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한 사례가 있다고 해서, ㉠을 약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중 하나 이상에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실패했지만 성공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은 강화된다.

보기를 명제 논리로 기호화하면,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이다.

㉡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항상 참X)

㉡ 명제의 전건은 ‘세 요소 목표 달성’이다. 그런데 보기에서 참으로 확정된 것은 ‘~세 요소 목표 달성’이다.

이를 통해 ㉡을 강화할 수 있는지, 없는지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은 약화된다.

보기를 명제 논리로 기호화하면,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이다.

㉡ 세 요소 목표 달성 →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항상 참X)

㉡ 명제에 따라 유행지각, 깊은 사고 그리고 협업 모두에서 목표를 달성했지만 성공하지 못한 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세 요소 목표 달성’과 ‘~마케팅 프로젝트 성공’ 모두 참이라면, ㉡을 약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9급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관련 문서

+1

“[9급 국어]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15번 해설 – 기업 마케팅 프로젝트 명제 논리”의 2개의 생각

  1. 해설이 정확하지 않은데요. 선지를 어떤 논리로 가언 명제로 기호화하셨죠? 선지들은 그냥 연언 명제들인데요. 기호화하는 과정을 다시 생각해보세요.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