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국어]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4번 해설 – 언어 랑그 파롤

개요

다음은 2024 9급 국가직 공무원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4. 다음 글의 ㉠~㉣ 중 어색한 곳을 찾아 가장 적절하게 수정한 것은?

언어는 랑그와 파롤로 구분할 수 있다. 랑그는 머릿속에 내재되어 있는 추상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특정한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기호체계를 가리킨다. 반면에 파롤은 구체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의사소통을 위해 랑그를 사용하는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언어학자들은 흔히 ㉠ 랑그를 악보에 비유하고, 파롤을 실제 연주에 비유하곤 하는데, 악보는 고정되어 있지만 실제 연주는 그 고정된 악보를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그러니까 ㉡ 랑그는 여러 상황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기본을 이루는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에 해당한다. 한편 ‘책상’이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 사람마다 발음되는 소리는 다르기 때문에 ‘책상’에 대한 발음은 제각각일 수밖에 없다. 여기서 ㉢ 실제로 발음되는 제각각의 소리값이 파롤이다.

랑그와 파롤 개념과 비슷한 것으로 언어능력과 언어수행이 있다. 자기 모국어에 대해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이 언어능력이고, 사람들이 실제로 발화하는 행위가 언어수행이다. ㉣ 파롤이 언어능력에 대응한다면, 랑그는 언어수행에 대응한다.

① ㉠: 랑그를 실제 연주에 비유하고, 파롤을 악보에 비유하곤

② ㉡: 랑그는 여러 상황에 맞춰 변화하는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

③ ㉢: 실제로 발음되는 제각각의 소리값이 랑그

④ ㉣: 랑그가 언어능력에 대응한다면, 파롤은 언어수행에 대응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 랑그를 실제 연주에 비유하고, 파롤을 악보에 비유하곤

언어는 랑그와 파롤로 구분할 수 있다. 랑그는 머릿속에 내재되어 있는 추상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특정한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기호체계를 가리킨다. 반면에 파롤은 구체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의사소통을 위해 랑그를 사용하는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언어학자들은 흔히 ㉠ 랑그를 악보에 비유하고, 파롤을 실제 연주에 비유하곤 하는데, 악보는 고정되어 있지만 실제 연주는 그 고정된 악보를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랑그는 특정한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기호체계를 가리키기 때문에, 악보와 같이 고정되어 있다.

파롤은 의사소통을 위한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하기 때문에, 악보를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실제 연주와 같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 랑그는 여러 상황에 맞춰 변화하는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

언어학자들은 흔히 ㉠ 랑그를 악보에 비유하고, 파롤을 실제 연주에 비유하곤 하는데, 악보는 고정되어 있지만 실제 연주는 그 고정된 악보를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그러니까 ㉡ 랑그는 여러 상황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기본을 이루는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에 해당한다.

랑그가 고정된 악보와 같기 때문에 여러 상황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기본을 이루는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 실제로 발음되는 제각각의 소리값이 랑그

언어는 랑그와 파롤로 구분할 수 있다. 랑그는 머릿속에 내재되어 있는 추상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특정한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기호체계를 가리킨다. 반면에 파롤은 구체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의사소통을 위해 랑그를 사용하는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언어학자들은 흔히 ㉠ 랑그를 악보에 비유하고, 파롤을 실제 연주에 비유하곤 하는데, 악보는 고정되어 있지만 실제 연주는 그 고정된 악보를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그러니까 ㉡ 랑그는 여러 상황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고 기본을 이루는 언어의 본질적인 모습에 해당한다. 한편 ‘책상’이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 사람마다 발음되는 소리는 다르기 때문에 ‘책상’에 대한 발음은 제각각일 수밖에 없다. 여기서 ㉢ 실제로 발음되는 제각각의 소리값이 파롤이다.

랑그와 파롤 개념과 비슷한 것으로 언어능력과 언어수행이 있다. 자기 모국어에 대해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이 언어능력이고, 사람들이 실제로 발화하는 행위가 언어수행이다. ㉣ 파롤이 언어능력에 대응한다면, 랑그는 언어수행에 대응한다.

빠롤은 의사소통을 위한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하며, 고정된 악보를 연주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실제 연주와 같다.

‘책상’이라는 단어를 발음할 때 사람마다 발음되는 소리는 다르기 때문에 ‘책상’에 대한 발음이 제각각이라면, 실제로 발음되는 제각각의 소리값은 파롤이 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 랑그가 언어능력에 대응한다면, 파롤은 언어수행에 대응

언어는 랑그와 파롤로 구분할 수 있다. 랑그는 머릿속에 내재되어 있는 추상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특정한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기호체계를 가리킨다. 반면에 파롤은 구체적인 언어의 모습으로, 의사소통을 위해 랑그를 사용하는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랑그와 파롤 개념과 비슷한 것으로 언어능력과 언어수행이 있다. 자기 모국어에 대해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이 언어능력이고, 사람들이 실제로 발화하는 행위가 언어수행이다. ㉣ 파롤이 언어능력에 대응한다면, 랑그는 언어수행에 대응한다.

랑그는 특정한 언어공동체가 공유하고 있는 기호체계를 가리키기 때문에, 자기 모국어에 대해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가지고 있는 지식인 언어능력과 비슷하다.

파롤은 의사소통을 위한 개인적인 행위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실제로 발화하는 행위인 언어수행와 비슷하다.

랑그 ≒ 언어능력

파롤 ≒ 언어수행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9급 국어 출제기조 전환 2차 예시문제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