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3 5급 언어논리 인책형 28번 해설 – 조선 연좌제 대역죄인

개요

다음은 2013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인책형 28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8. 다음 글에서 이끌어낼 수 있는 주장이 아닌 것은?

조선시대의 연좌제는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에 따라 시행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부터 모법(母法)으로 삼았던 <대명률>을 형법의 일반법으로 적용했는데, 이 법률에 따라 연좌제가 적용되는 죄목은 새로운 왕조를 세우려는 모반(謀反), 현재의 군주를 갈아치우려는 모대역(謀大逆), 외국과 내통하여 본국을 멸망시키려는 모반(謀叛)의 세 가지 정치적 범죄로 한정되었다.

연좌제의 적용을 받는 범죄의 처벌 대상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제한적이었다. 우리는 흔히 3족을 멸한다는 말을 쓸 때, 3족을 친가, 외가, 처가로 이해한다. 그러나 다산 정약용이 <목민심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는 잘못된 것이다. <대명률>에 따르면 친족의 범위는 친가, 외가, 처가의 3족이 아닌, 아버지와 아버지의 형제를 포함하는 조족(祖族), 본인의 형제와 그 소생을 포함하는 부족(父族), 본인의 아들 및 그 소생을 가리키는 기족(己族)의 3족에 국한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 가장 가혹하게 연좌제가 적용된 모반(謀反)과 대역죄의 경우에도, 본인 및 공모자는 능지처사, 아버지와 16세 이상의 아들은 교수형, 16세 미만의 아들과 어머니·처첩·조손·형제자매·아들의 처첩은 노비로 삼고, 백부와 숙부, 조카들은 동거 여부를 불문하고 유배형에 처하였으나 장인의 일로 사위를 벌 주지는 않았다. 또한 범죄당사자의 출가한 누이와 그 배우자 역시 연좌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도 사위들이 연좌제에 걸려 처벌을 받은 일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갑자사화 때 연산군은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전달한 이세좌를 죽이면서 그의 사위도 유배시켰고, 곧 사사(賜死)했다. 또한 중종 반정 이후 연산군의 매부로 좌의정이었던 신수근을 죽이면서 그의 사위 역시 멀리 귀양을 보냈다. 이처럼 법 규정을 넘어 연좌의 대상이 확대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① 조선시대에는 3족의 범위에 장인이나 사위가 포함되지 않았다.

② 조선시대에 대역죄인의 기족에게 적용된 형벌의 종류는 동일했다.

③ 조선시대 법률체계에서 대역죄인의 출가한 여동생은 연좌의 적용 대상이 아니었다.

④ 친형수가 아들을 출산해 나에게 조카가 생겼을 때, 이 조카는 나에게 부족에 해당한다.

⑤ 조선시대에 모반(謀反)죄를 범했을 경우 처벌이 본인과 그 3족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조선시대에는 3족의 범위에 장인이나 사위가 포함되지 않았다.

연좌제의 적용을 받는 범죄의 처벌 대상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제한적이었다. 우리는 흔히 3족을 멸한다는 말을 쓸 때, 3족을 친가, 외가, 처가로 이해한다. 그러나 다산 정약용이 <목민심서>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이는 잘못된 것이다. <대명률>에 따르면 친족의 범위는 친가, 외가, 처가의 3족이 아닌, 아버지와 아버지의 형제를 포함하는 조족(祖族), 본인의 형제와 그 소생을 포함하는 부족(父族), 본인의 아들 및 그 소생을 가리키는 기족(己族)의 3족에 국한된다.

장인은 처가이므로 3족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위는 본인의 출가한 딸의 배우자이므로 3족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조선시대에 대역죄인의 기족에게 적용된 형벌의 종류는 동일했다.

본인의 아들 및 그 소생을 가리키는 기족(己族)의 3족에 국한된다.

그런데 조선시대에 가장 가혹하게 연좌제가 적용된 모반(謀反)과 대역죄의 경우에도, 본인 및 공모자는 능지처사, 아버지와 16세 이상의 아들은 교수형, 16세 미만의 아들과 어머니·처첩·조손·형제자매·아들의 처첩은 노비로 삼고, 백부와 숙부, 조카들은 동거 여부를 불문하고 유배형에 처하였으나 장인의 일로 사위를 벌 주지는 않았다. 또한 범죄당사자의 출가한 누이와 그 배우자 역시 연좌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기족은 본인의 아들 및 그 소생을 가리킨다.

대역죄인의 16세 이상의 아들은 교수형, 16세 미만 아들은 노비로 삼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조선시대 법률체계에서 대역죄인의 출가한 여동생은 연좌의 적용 대상이 아니었다.

범죄당사자의 출가한 누이와 그 배우자 역시 연좌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친형수가 아들을 출산해 나에게 조카가 생겼을 때, 이 조카는 나에게 부족에 해당한다.

본인의 형제와 그 소생을 포함하는 부족(父族), 본인의 아들 및 그 소생을 가리키는 기족(己族)의 3족에 국한된다.

친형수의 아들은 본인의 형의 그 소생이다. 이 조카는 나에게 부족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조선시대에 모반(謀反)죄를 범했을 경우 처벌이 본인과 그 3족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었다.

범죄당사자의 출가한 누이와 그 배우자 역시 연좌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다.

하지만 조선시대에도 사위들이 연좌제에 걸려 처벌을 받은 일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범죄당사자의 출가한 누이의 배우자는 사위이다. 사위는 3족에 포함되지 않지만 처벌받은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3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