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3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인책형 23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3. (가)와 (나)에 대한 평가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어린 시절 과학 선생님에게 가을에 단풍이 드는 까닭을 물어본 적이 있다면, 단풍은 “나무가 겨울을 나려고 잎을 떨어뜨리다 보니 생기는 부수적인 현상”이라는 답을 들었을 것이다. 보통 때는 초록빛을 내는 색소인 엽록소가 카로틴, 크산토필 같은 색소를 가리므로 우리는 잎에서 다른 빛깔을 보지 못한다. 가을이 오면, 잎을 떨어뜨리고자 잎자루 끝에 떨켜가 생기면서 가지와 잎 사이의 물질 이동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감춰졌던 다른 색소들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서 잎이 노랗거나 주홍빛을 띠게 된다. 요컨대 단풍은 나무가 월동 준비 과정에서 우연히 생기는 부산물이다.
(나) 생물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화려한 색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물론 척추동물의 몸 속에 흐르는 피는 예외이다. 상처가 난 당사자에게 피의 강렬한 색이 사태의 시급성을 알려 준다면, 피의 붉은 색깔은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진화적으로 출현했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는 듯한 가을 단풍은 나무가 해충에 보내는 경계 신호라고 볼 수 있다. 진딧물처럼 겨울을 나기 위해 가을에 적당한 나무를 골라서 알을 낳는 곤충들을 향해 나무가 자신의 경계 태세가 얼마나 철저한지 알려 주는 신호가 가을 단풍이라는 것이다. 단풍의 색소를 만드는 데는 적지 않은 비용이 따르므로, 오직 건강한 나무만이 진하고 뚜렷한 가을 빛깔을 낼 수 있다. 진딧물은 이러한 신호들에 반응해서 가장 형편없이 단풍이 든 나무에 내려앉는다. 휘황찬란한 단풍은 나무와 곤충이 진화하면서 만들어 낸 적응의 결과물이다. |
<보 기> |
ㄱ. 단풍이 드는 나무 중에서 떨켜를 만들지 않는 종이 있다는 연구 결과는 (가)의 주장을 강화한다.
ㄴ. 식물의 잎에서 주홍빛을 내는 색소가 가을에 새롭게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는 (가)의 주장을 강화한다. ㄷ. 가을에 인위적으로 어떤 나무의 단풍색을 더 진하게 만들었더니 그 나무에 알을 낳는 진딧물의 수가 줄었다는 연구 결과는 (나)의 주장을 강화한다.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단풍이 드는 나무 중에서 떨켜를 만들지 않는 종이 있다는 연구 결과는 (가)의 주장을 강화한다.
(가) 가을이 오면, 잎을 떨어뜨리고자 잎자루 끝에 떨켜가 생기면서 가지와 잎 사이의 물질 이동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감춰졌던 다른 색소들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서 잎이 노랗거나 주홍빛을 띠게 된다. 요컨대 단풍은 나무가 월동 준비 과정에서 우연히 생기는 부산물이다. |
강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식물의 잎에서 주홍빛을 내는 색소가 가을에 새롭게 만들어진다는 연구 결과는 (가)의 주장을 강화한다.
(가) 보통 때는 초록빛을 내는 색소인 엽록소가 카로틴, 크산토필 같은 색소를 가리므로 우리는 잎에서 다른 빛깔을 보지 못한다. 가을이 오면, 잎을 떨어뜨리고자 잎자루 끝에 떨켜가 생기면서 가지와 잎 사이의 물질 이동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엽록소가 파괴되면서 감춰졌던 다른 색소들이 자연스럽게 드러나서 잎이 노랗거나 주홍빛을 띠게 된다. |
강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가을에 인위적으로 어떤 나무의 단풍색을 더 진하게 만들었더니 그 나무에 알을 낳는 진딧물의 수가 줄었다는 연구 결과는 (나)의 주장을 강화한다.
(나) 타는 듯한 가을 단풍은 나무가 해충에 보내는 경계 신호라고 볼 수 있다. 진딧물처럼 겨울을 나기 위해 가을에 적당한 나무를 골라서 알을 낳는 곤충들을 향해 나무가 자신의 경계 태세가 얼마나 철저한지 알려 주는 신호가 가을 단풍이라는 것이다. 단풍의 색소를 만드는 데는 적지 않은 비용이 따르므로, 오직 건강한 나무만이 진하고 뚜렷한 가을 빛깔을 낼 수 있다. 진딧물은 이러한 신호들에 반응해서 가장 형편없이 단풍이 든 나무에 내려앉는다. (그리고 알을 낳는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13 민경채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5번 해설 – 절대적 확실한 지식 논증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4번 해설 – 트랜스 지방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3번 해설 – 단풍 떨켜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2번 해설 – 소크라테스 견해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1번 해설 – 뉴턴 역학 아인슈타인 상대성 이론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0번 해설 – 증거의 없음 없음의 증거 일반화의 오류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9번 해설 – 국방비 증세 정책 경제 침체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8번 해설 – 얼음 녹는점 잠열 추론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7번 해설 – 담배 흡연 폐암 니코틴 타르 추론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6번 해설 – 미국 북부 남부 이주민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5번 해설 – 연말정산 자동계산 프로그램 보고서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4번 해설 – 세포 표적세포 신호 전달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3번 해설 – 살쾡이 호랑이 고양이 추론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2번 해설 – 금융 위기 신자유주의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1번 해설 – 설탕 제당업 대일본제당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0번 해설 – B원칙 추가 전제 결론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9번 해설 – 전제 부처 발령 영희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8번 해설 – 정신 혼 도덕 행복 이익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7번 해설 – 아이 훈수 속설 추론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6번 해설 – 공영방송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5번 해설 – 조선 수령 사법권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4번 해설 – 나균 화석화된 유전자 추론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3번 해설 – 문명 문화 아놀드 타일러 추론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2번 해설 – 전자 심의 대면 심의
- [PSAT 기출] 2013 민경채 언어논리 인책형 1번 해설 – 의학 납약 고려 현종 혜민국
관련 문서
- 2013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