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4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A책형 2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4. 다음 글의 ‘도덕적 딜레마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890년대에 이르러 어린이를 의료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 주장의 핵심적인 근거는 어린이가 의료 실험과 관련하여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동의능력이란, 충분히 자율적인 존재가 제안된 실험의 특성이나 위험성 등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인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그 실험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를 실험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항상 도덕적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1962년 이후 미국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실험이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1968년 미국의 소아 약물학자 셔키는 다음과 같은 ‘도덕적 딜레마 논증’을 제시하였다.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면, 어린이 환자 집단에 대해 충분한 실험을 하지 않은 약품들로 어린이를 치료하게 되어 어린이를 더욱 커다란 위험에 몰아넣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반면,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지 않으면,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진 존재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게 된다. 제한된 동의능력만을 가진 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따라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우리의 선택지는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거나 배제시키지 않는 것뿐이다. 결국 어떠한 선택을 하든 도덕적인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다. |
<보 기> |
ㄱ. 어린이를 실험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그 위험성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모두 거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적합한 사전 동의 없이 행해지는 어떠한 실험도 도덕적 잘못이기 때문이다.
ㄴ. 동물실험이나 성인에 대한 임상 실험을 통해서도 어린이 환자를 위한 안전한 약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어린이 환자가 안전하게 치료받지 못하는 위험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ㄷ. 부모나 법정 대리인을 통해 어린이의 동의능력을 적합하게 보완할 수 있다. 어린이의 동의능력이 부모나 법정대리인에 의해 적합하게 보완된다면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켜도 도덕적 잘못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의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켜도 도덕적 잘못이 아닐 수 있다. |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어린이를 실험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그 위험성의 여부와는 상관없이 모두 거부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적합한 사전 동의 없이 행해지는 어떠한 실험도 도덕적 잘못이기 때문이다.
1890년대에 이르러 어린이를 의료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 주장의 핵심적인 근거는 어린이가 의료 실험과 관련하여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지 않으면,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진 존재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게 된다. 제한된 동의능력만을 가진 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
적합한 사전 동의 없이 행해지는 어떠한 실험은 도덕적 잘못이라는 것은 위 글의 입장과 일치하므로 ‘도덕적 딜레마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동물실험이나 성인에 대한 임상 실험을 통해서도 어린이 환자를 위한 안전한 약물을 만들어낼 수 있다. 따라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더라도 어린이 환자가 안전하게 치료받지 못하는 위험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면, 어린이 환자 집단에 대해 충분한 실험을 하지 않은 약품들로 어린이를 치료하게 되어 어린이를 더욱 커다란 위험에 몰아넣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지 않으면,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진 존재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게 된다.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우리의 선택지는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거나 배제시키지 않는 것뿐이다. 결국 어떠한 선택을 하든 도덕적인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다. |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면, 어린이 환자 집단에 대해 충분한 실험을 하지 않은 약품들로 어린이를 치료하게 되어 어린이를 더욱 커다란 위험에 몰아넣게 되고, 반대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지 않으면,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진 존재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게 되므로 두 경우 모두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그런데 보기의 내용으로 어린이 환자를 위한 안전한 약물을 만들면서도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진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킨다면, 도덕적 딜레마 논증을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부모나 법정 대리인을 통해 어린이의 동의능력을 적합하게 보완할 수 있다. 어린이의 동의능력이 부모나 법정대리인에 의해 적합하게 보완된다면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켜도 도덕적 잘못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의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켜도 도덕적 잘못이 아닐 수 있다.
1890년대에 이르러 어린이를 의료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그 주장의 핵심적인 근거는 어린이가 의료 실험과 관련하여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었다. 여기서 동의능력이란, 충분히 자율적인 존재가 제안된 실험의 특성이나 위험성 등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인식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그 실험을 자발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그렇기 때문에 어린이를 실험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항상 도덕적 논란을 불러일으켰고, 1962년 이후 미국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실험이 거의 시행되지 않았다.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지 않으면, 제한적인 동의능력만을 가진 존재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게 된다. 제한된 동의능력만을 가진 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따라서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은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 우리의 선택지는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서 배제시키거나 배제시키지 않는 것뿐이다. 결국 어떠한 선택을 하든 도덕적인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다. |
제한된 동의능력만을 가진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것이 도덕적으로 올바르지 않다면, 이 제한된 동의능력을 부모나 법정 대리인을 통해 적합하게 보완하여 어린이를 실험 대상에 포함시키는 경우 도덕적 잘못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도덕적 딜레마 논증이 해결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4 민경채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5번 해설 – 결정론 도덕적 책임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4번 해설 – 도덕적 딜레마 논증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3번 해설 – 진화론 인간 털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2번 해설 – 고대사회 생계경제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1번 해설 – 불임 난자 기증 금전적 대가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0번 해설 – 유전 관리 부서 민간경력자 전문관 임용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9번 해설 – 골란드 가설 검증 기아 감자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8번 해설 – 복지사 급식 지원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7번 해설 – 연역적인 공리적 증명 방법 명제 논리 추론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6번 해설 – 컴퓨터 무작위 수열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5번 해설 – 사이버공동체 정치적 자본 정치 참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4번 해설 – 이슬람 금융 방식 무라바하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3번 해설 – 가족주의 문화 한국 근대화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2번 해설 – 표준궤 협궤 광궤 일본 러시아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1번 해설 – 다도해 개방성 고립성 논지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0번 해설 – 유전자 자연발생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9번 해설 – 디지털 이미지 리타겟팅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8번 해설 – 근무지 진술 참 거짓 서울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7번 해설 – 자기 신호 강도 차감법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6번 해설 – 단기기억 장기기억 해마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5번 해설 – 이론 P 복지 현재 선호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4번 해설 – 시민 자치 증진 경제 정책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3번 해설 – 소설 영화 이야기 전달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2번 해설 – 금군 겸사복 우림위
- [PSAT 기출] 2014 민경채 언어논리 A책형 1번 해설 – 화랑도 화랑 낭도
관련 문서
- 2014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