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7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9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9.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부락집단을 형성하고 인간의 삶 전체가 반영된 이야기가 시작되었을 때부터 설화가 존재하였다. 설화에는 직설적인 표현도 있지만, 풍부한 상징성을 가진 것이 많다. 이 이야기들에는 민중이 믿고 숭상했던 신들에 관한 신성한 이야기인 신화, 현장과 증거물을 중심으로 엮은 역사적인 이야기인 전설, 민중의 욕망과 가치관을 보여주는 허구적 이야기인 민담이 있다. 설화 속에는 원(願)도 있고 한(恨)도 있으며, 아름답고 슬픈 사연도 있다. 설화는 한 시대의 인간들의 삶과 문화이며 바로 그 시대에 살았던 인간의식 그 자체이기에 설화 수집은 중요한 일이다.
상주지방에 전해오는 ‘공갈못설화’를 놓고 볼 때 공갈못의 생성은 과거 우리의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서 구전되고 인식되었지만, 이에 관한 당시의 문헌 기록은 단 한 줄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신라의 지배층이나 관의 입장에서 공갈못 생성에 관한 것이 기록할 가치가 있는 정치적 사건은 아니라는 인식을 보여준다. 공갈못 생성은 다만 농경생활에 필요한 농경민들의 사건이었던 것이다. 공갈못 관련 기록은 조선시대에 와서야 발견된다. 이에 따르면 공갈못은 삼국시대에 형성된 우리나라 3대 저수지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당대에 기록되지 못하고 한참 후에서야 단편적인 기록들만이 전해진 것이다. 일본은 고대 역사를 제대로 정리한 기록이 없는데도 주변에 흩어진 기록과 구전(口傳)을 모아 <일본서기>라는 그럴싸한 역사책을 완성하였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역사성과 현장성이 있는 전설을 가볍게 취급해서는 결코 안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주지방에 전하는 지금의 공갈못에 관한 이야기도 공갈못 생성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역사성을 가진 귀중한 자료인 것이다. |
① 공갈못설화는 전설에 해당한다.
② 설화가 기록되기 위해서는 원이나 한이 배제되어야 한다.
③ 삼국의 사서에는 농경생활 관련 사건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④ 한국의 3대 저수지 생성 사건은 조선시대에 처음 기록되었다.
⑤ 조선과 일본의 역사기술 방식의 차이는 전설에 대한 기록 여부에 있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공갈못설화는 전설에 해당한다.
현장과 증거물을 중심으로 엮은 역사적인 이야기인 전설
상주지방에 전해오는 ‘공갈못설화’를 놓고 볼 때 공갈못의 생성은 과거 우리의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서 구전되고 인식되었지만, 공갈못 관련 기록은 조선시대에 와서야 발견된다. 이에 따르면 공갈못은 삼국시대에 형성된 우리나라 3대 저수지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
공갈못설화는 상주지방 저수지인 공갈못이라는 현장을 중심으로 엮은 역사적인 이야기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설화가 기록되기 위해서는 원이나 한이 배제되어야 한다.
설화 속에는 원(願)도 있고 한(恨)도 있으며, 아름답고 슬픈 사연도 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삼국의 사서에는 농경생활 관련 사건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
상주지방에 전해오는 ‘공갈못설화’를 놓고 볼 때 공갈못의 생성은 과거 우리의 농경사회에서 중요한 역사적 사건으로서 구전되고 인식되었지만, 이에 관한 당시의 문헌 기록은 단 한 줄도 전해지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신라의 지배층이나 관의 입장에서 공갈못 생성에 관한 것이 기록할 가치가 있는 정치적 사건은 아니라는 인식을 보여준다. 공갈못 생성은 다만 농경생활에 필요한 농경민들의 사건이었던 것이다. |
삼국의 사서에 공갈못에 관한 기록이 전해지지 않았다는 내용은 언급되지만, 농경생활 관련 사건이 기록되어 있지 않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한국의 3대 저수지 생성 사건은 조선시대에 처음 기록되었다.
공갈못 관련 기록은 조선시대에 와서야 발견된다. 이에 따르면 공갈못은 삼국시대에 형성된 우리나라 3대 저수지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
한국의 3대 저수지 중 공갈못 관련 기록이 조선시대에 와서야 발견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조선과 일본의 역사기술 방식의 차이는 전설에 대한 기록 여부에 있다.
공갈못 관련 기록은 조선시대에 와서야 발견된다. 이에 따르면 공갈못은 삼국시대에 형성된 우리나라 3대 저수지의 하나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당대에 기록되지 못하고 한참 후에서야 단편적인 기록들만이 전해진 것이다. 일본은 고대 역사를 제대로 정리한 기록이 없는데도 주변에 흩어진 기록과 구전(口傳)을 모아 <일본서기>라는 그럴싸한 역사책을 완성하였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역사성과 현장성이 있는 전설을 가볍게 취급해서는 결코 안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주지방에 전하는 지금의 공갈못에 관한 이야기도 공갈못 생성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역사성을 가진 귀중한 자료인 것이다. |
공갈못의 경우 형성된 당시인 삼국시대에 그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해 조선시대에 와서야 기록되었다.
조선과 일본 모두 역사성과 현장성이 있는 전설을 기록하였다는 측면에서 역사기술 방식의 차이는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7 민경채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해설 – 얼룩말 얼룩무늬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해설 – 전시되는 유물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3번 해설 – 갈릴레오 살비아티 지동설 코페르니쿠스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2번 해설 – 신용카드 거래 확률 사기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해설 – 석가탑 다라니경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0번 해설 – 페르메르 메헤렌 진품 위조품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해설 – 이스라엘 비행 칭찬 오류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해설 – 카라리아 발성기관 물질 B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해설 – 과학 예술 DNA 이중나선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6번 해설 – 아테나 아름다움 정언논리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해설 – 아리스토텔레스 정치제제 군주정 귀족정 제헌정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해설 – 비어즐리 낭만주의적 예술가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검계 향도계 도가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해설 – 부계 성 세습 진나라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해설 – 삼별초 난 최우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0번 해설 – 사람 쥐 한 마리 추론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9번 해설 – 전설 설화 공갈못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8번 해설 – 공직자 공동선 도덕률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7번 해설 – 전전두엽 탈억제 충동억제회로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6번 해설 – 교수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면접위원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5번 해설 – 기관 간 약정 전권위임장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4번 해설 – 면역계 사카린 용액 T세포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3번 해설 – 교육 변화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번 해설 – 스페인 아스텍 천연두 아메리카 원주민
- [PSAT 기출] 2017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해설 – 일제 내선일체 황국신민화
관련 문서
- 2017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