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4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사책형 7번 해설 – 논어 자한 공자 인 문맥 수정

개요

다음은 2024년도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영역 사책형 7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7. 다음 글의 ㉠~㉤을 문맥에 맞게 수정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논어> 「자한」편 첫 문장은 일반적으로 “공자께서는 이익, 천명, 인(仁)에 대해서 드물게 말씀하셨다.”라고 해석된다. 그런데 <논어> 전체에서 인이 총 106회 언급되었다는 사실과 이 문장 안에 포함된 ‘드물게(罕)’라는 말은 상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해당 한자의 의미를 ㉠ 기존과 다르게 해석하여 이 문장에 대한 일반적 해석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른 방식으로 충돌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던 이들도 있다. 그들은 이 문장의 일반적 해석을 바꾸지 않고 다음과 같은 방법들로 문제를 풀려고 시도했다.

첫째, 어떤 이들은 정도를 나타내는 표현이 상대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실, ‘드물게’라는 것이 과연 어느 정도의 횟수를 의미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드물다’는 표현은 동일 선상에 있는 다른 것과의 비교를 염두에 둔 것이다. 따라서 ㉡ 인이 106회 언급되었다고 해도 다른 것에 비해서는 드물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이들은 텍스트의 형성 과정에 주목했다. <논어>는 발화자와 기록자가 서로 다른데, 공자 사후 공자의 제자들은 각자가 기억하는 스승의 말이나 스승에 대한 그간의 기록을 모아서 <논어>를 편찬하였다. 이를 염두에 둔다면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상상할 수 있다. 공자는 인에 대해 실제로 드물게 말했다. 공자가 인을 중시하면서도 그에 대해 드물게 언급하다 보니 제자들이 자주 물을 수밖에 없었다. 그 대화의 결과들을 끌어모은 것이 <논어>인 까닭에, <논어>에는 ㉢ 인에 대한 기록이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

셋째, ㉣ 이 문장을 기록한 제자의 개별적 특성에 주목했던 이들도 있다. 즉, 다른 제자들은 인에 대해 여러 차례 들었지만, 이 문장의 기록자만 드물게 들었을 수 있다. 공자는 질문하는 제자가 어떤 사람인지에 따라 각 제자에게 주는 가르침을 달리했다. 그렇다면 ‘드물게’는 이 문장을 기록한 제자의 어떤 특성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넷째, 어떤 이들은 시간의 변수를 도입했다. 기록자가 공자의 가르침을 돌아보면서 ㉤ 이 문장을 기록한 시점 이후에 공자는 정말로 인에 대해 드물게 말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뒤 어느 시점부터 공자가 빈번하게 인에 대해 설파하기 시작했으며, <논어>에 보이는 인에 대한 106회의 언급은 그 결과일 수 있다.

① ㉠을 “기존과 동일하게 해석하여 이 문장에 대한 일반적 해석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고친다.

② ㉡을 “인이 106회 언급되었다면 다른 어떤 것에 비해서도 드물다고 평가할 수 없다”로 고친다.

③ ㉢을 “인에 대한 기록이 적어질 수밖에 없었다”로 고친다.

④ ㉣을 “<논어>를 편찬한 공자 제자들의 공통적 특성”으로 고친다.

⑤ ㉤을 “이 문장을 기록했던 시점까지”로 고친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을 “기존과 동일하게 해석하여 이 문장에 대한 일반적 해석을 준수하는 방식”으로 고친다.

<논어> 「자한」편 첫 문장은 일반적으로 “공자께서는 이익, 천명, 인(仁)에 대해서 드물게 말씀하셨다.”라고 해석된다. 그런데 <논어> 전체에서 인이 총 106회 언급되었다는 사실과 이 문장 안에 포함된 ‘드물게(罕)’라는 말은 상충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해당 한자의 의미를 ㉠ 기존과 다르게 해석하여 이 문장에 대한 일반적 해석을 변경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다. 하지만 이와 다른 방식으로 충돌을 해결할 수 있다고 믿었던 이들도 있다. 그들은 이 문장의 일반적 해석을 바꾸지 않고 다음과 같은 방법들로 문제를 풀려고 시도했다.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 중 첫 번째 방식이 ㉠ 방식이다. 그런데 ㉠ 방식과 다른 방식으로 충돌을 해결하기 위해 이 문장의 일반적 해석을 바꾸지 않는다고 언급된다.

그러므로 ㉠ 방식은 일반적 해석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을 “인이 106회 언급되었다면 다른 어떤 것에 비해서도 드물다고 평가할 수 없다”로 고친다.

첫째, 어떤 이들은 정도를 나타내는 표현이 상대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실, ‘드물게’라는 것이 과연 어느 정도의 횟수를 의미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드물다’는 표현은 동일 선상에 있는 다른 것과의 비교를 염두에 둔 것이다. 따라서 ㉡ 인이 106회 언급되었다고 해도 다른 것에 비해서는 드물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인이 106회 언급되고, 다른 단어들이 106회보다 훨씬 많이 언급되었다면, 인이 106회 언급되었다고 해도 다른 것에 비해서는 드물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을 “인에 대한 기록이 적어질 수밖에 없었다”로 고친다.

둘째, 다른 이들은 텍스트의 형성 과정에 주목했다. <논어>는 발화자와 기록자가 서로 다른데, 공자 사후 공자의 제자들은 각자가 기억하는 스승의 말이나 스승에 대한 그간의 기록을 모아서 <논어>를 편찬하였다. 이를 염두에 둔다면 다음과 같은 상황을 상상할 수 있다. 공자는 인에 대해 실제로 드물게 말했다. 공자가 인을 중시하면서도 그에 대해 드물게 언급하다 보니 제자들이 자주 물을 수밖에 없었다. 그 대화의 결과들을 끌어모은 것이 <논어>인 까닭에, <논어>에는 ㉢ 인에 대한 기록이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

공자가 인을 중시하면서도 그에 대해 드물게 언급하다 보니 제자들이 자주 물을 수밖에 없었고, 그에 따라 역설적으로 인에 대한 기록이 많아질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을 “<논어>를 편찬한 공자 제자들의 공통적 특성”으로 고친다.

셋째, ㉣ 이 문장을 기록한 제자의 개별적 특성에 주목했던 이들도 있다. 즉, 다른 제자들은 인에 대해 여러 차례 들었지만, 이 문장의 기록자만 드물게 들었을 수 있다. 공자는 질문하는 제자가 어떤 사람인지에 따라 각 제자에게 주는 가르침을 달리했다. 그렇다면 ‘드물게’는 이 문장을 기록한 제자의 어떤 특성 때문에 나타난 결과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을 “이 문장을 기록했던 시점까지”로 고친다.

넷째, 어떤 이들은 시간의 변수를 도입했다. 기록자가 공자의 가르침을 돌아보면서 ㉤ 이 문장을 기록한 시점 이후에 공자는 정말로 인에 대해 드물게 말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그 뒤 어느 시점부터 공자가 빈번하게 인에 대해 설파하기 시작했으며, <논어>에 보이는 인에 대한 106회의 언급은 그 결과일 수 있다.

㉤에 ‘이 문장을 기록한 시점 이후’와 ‘그 뒤 어느 시점부터’의 시간적 의미는 같다. 하지만 ‘인’에 대한 언급 빈도는 다르다. 이러한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보기와 같이 수정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