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5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9번 해설 – 철도선로 총선로길이

개요

다음은 2025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39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39. 다음 <표>는 2024년 ‘갑’~‘정’국의 철도선로 활용 현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2024년 ‘갑’~‘정’국의 철도선로 활용 현황

국가

구분

총선로길이(km) 15,100 63,700 27,200 3,900
인구 백만 인당 225 49 151 77
국토면적 천 km2 60 7 51 39
여객수송인원(백만 인) 1,665 1,554 9,091 1,269
여객수송거리(백만 인ㆍkm) 66,660 723,006 260,192 40,343
화물수송량(백만 톤) 90 2,294 31 37
화물수송거리(백만 톤ㆍkm) 19,000 1,980,061 20,255 9,749
※ 1) 여객수송거리는 여객수송인원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2) 화물수송거리는 화물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보 기>
ㄱ. 인구가 많은 국가일수록 총선로길이가 길다.

ㄴ. 국토면적이 넓은 국가일수록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가 길다.

ㄷ. 화물수송량 1톤당 화물수송거리는 ‘을’국이 ‘갑’국의 3배 이상이다.

ㄹ. 총선로길이 대비 여객수송거리의 비율은 ‘정’국이 ‘을’국보다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ㄱ,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인구가 많은 국가일수록 총선로길이가 길다.

<표> 2024년 ‘갑’~‘정’국의 철도선로 활용 현황

국가

구분

총선로길이(km) 15,100 63,700 27,200 3,900
인구 백만 인당 225 49 151 77
국토면적 천 km2 60 7 51 39
여객수송인원(백만 인) 1,665 1,554 9,091 1,269
여객수송거리(백만 인ㆍkm) 66,660 723,006 260,192 40,343
화물수송량(백만 톤) 90 2,294 31 37
화물수송거리(백만 톤ㆍkm) 19,000 1,980,061 20,255 9,749
※ 1) 여객수송거리는 여객수송인원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2) 화물수송거리는 화물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인구 백만 인당 총선로길이(km) = 총선로길이(km)(총 인구백만 인)

총 인구 = 총선로길이(km)인구 백만 인당×백만 인

 

갑 총 인구 = 15,100225×백만 인 ≒ 67백만 인

을 총 인구 = 63,70049×백만 인 ≒ 1,300백만 인

병 총 인구 = 27,200151×백만 인 ≒ 180백만 인

정 총 인구 = 3,90077×백만 인 ≒ 51백만 인

 

총선로길이 순: 을, 병, 갑, 정

총 인구 순: 을, 병, 갑, 정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국토면적이 넓은 국가일수록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가 길다.

<표> 2024년 ‘갑’~‘정’국의 철도선로 활용 현황

국가

구분

총선로길이(km) 15,100 63,700 27,200 3,900
인구 백만 인당 225 49 151 77
국토면적 천 km2 60 7 51 39
여객수송인원(백만 인) 1,665 1,554 9,091 1,269
여객수송거리(백만 인ㆍkm) 66,660 723,006 260,192 40,343
화물수송량(백만 톤) 90 2,294 31 37
화물수송거리(백만 톤ㆍkm) 19,000 1,980,061 20,255 9,749
※ 1) 여객수송거리는 여객수송인원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2) 화물수송거리는 화물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국토면적(천 km2) = 총선로길이(km)국토면적 천 km2×천 km2

갑 국토면적 = 15,10060 ≒ 252

을 국토면적 = 63,7007 ≒ 9,100

병 국토면적 = 27,20051 ≒ 533

정 국토면적 = 3,90039 ≒ 100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 = 여객수송거리여객수송인원

갑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 = 66,7001,670 ≒ 40

을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 = 723,0001,550 ≒ 466

병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 = 260,0009,090 ≒ 29

정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 = 40,3001,270 ≒ 32

 

국토면적 순: 을, 병, 갑, 을

여객수송인원 1인당 여객수송거리 순: 을, 갑, 정, 병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화물수송량 1톤당 화물수송거리는 ‘을’국이 ‘갑’국의 3배 이상이다.

<표> 2024년 ‘갑’~‘정’국의 철도선로 활용 현황

국가

구분

총선로길이(km) 15,100 63,700 27,200 3,900
인구 백만 인당 225 49 151 77
국토면적 천 km2 60 7 51 39
여객수송인원(백만 인) 1,665 1,554 9,091 1,269
여객수송거리(백만 인ㆍkm) 66,660 723,006 260,192 40,343
화물수송량(백만 톤) 90 2,294 31 37
화물수송거리(백만 톤ㆍkm) 19,000 1,980,061 20,255 9,749
※ 1) 여객수송거리는 여객수송인원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2) 화물수송거리는 화물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화물수송량 1톤당 화물수송거리 = 화물수송거리화물수송량

갑 화물수송량 1톤당 화물수송거리 = 19,00090 ≒ 211

을 화물수송량 1톤당 화물수송거리 = 1,980,0002,300 ≒ 861

211 × 3 < 861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총선로길이 대비 여객수송거리의 비율은 ‘정’국이 ‘을’국보다 높다.

<표> 2024년 ‘갑’~‘정’국의 철도선로 활용 현황

국가

구분

총선로길이(km) 15,100 63,700 27,200 3,900
인구 백만 인당 225 49 151 77
국토면적 천 km2 60 7 51 39
여객수송인원(백만 인) 1,665 1,554 9,091 1,269
여객수송거리(백만 인ㆍkm) 66,660 723,006 260,192 40,343
화물수송량(백만 톤) 90 2,294 31 37
화물수송거리(백만 톤ㆍkm) 19,000 1,980,061 20,255 9,749
※ 1) 여객수송거리는 여객수송인원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2) 화물수송거리는 화물수송량에 수송거리를 곱한 값의 합임.

을 총선로길이 대비 여객수송거리의 비율 = 723,00063,700 ≒ 11.3

정 총선로길이 대비 여객수송거리의 비율 = 40,3003,900 ≒ 10.3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2025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