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5 5급 자료해석 가책형 40번 해설 – 국민재난지원금

개요

다음은 2025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40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40. 다음 <표>는 ‘갑’국의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 현황 및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 구성비에 관한 자료이다. <표>와 <국민재난지원금 지급기준>에 따라 세대별로 지급하는 국민재난지원금을 산정할 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1>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 현황

(단위: 원, 세대, 명)

구분

분위

건강보험료 세대수 총세대원수
최소 최대
전체 80,970 3,182,760 25,000 56,750
1분위 80,970 157,150 5,000 11,200
2분위 157,151 187,230 5,000 11,200
3분위 187,231 226,880 5,000 11,450
4분위 226,881 291,940 5,000 11,450
5분위 291,941 3,182,760 5,000 11,450
※ 건강보험료는 세대 단위로 부과된 금액임.

<표 2>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수에 따른 구성비

(단위: %)

세대원수

분위별 세대

1인 2인 3인 4인 이상
1분위 세대 40 20 20 20
2분위 세대 40 20 20 20
3분위 세대 35 25 20 20
4분위 세대 35 25 20 20
5분위 세대 35 25 20 20
<국민재난지원금 지급기준>
○ (기준 1) 건강보험료가 226,880원 이하인 세대만 지급대상으로 함.

○ (기준 2) 세대원 1인당 10만 원을 지급함.

○ (기준 3) 세대별 지급가능 상한액은 40만 원임.

<보 기>
ㄱ. 국민재난지원금 지급 총액은 33억 원 이상이다.

ㄴ. (기준 1) 만 변경하여 1인 세대는 보험료 187,230원 이하인 세대에만, 2인 이상인 세대는 보험료 226,880원 이하인 세대에만 지급한다면, 국민재난지원금 지급 총액은 31억 5천만 원이 된다.

ㄷ. (기준 3) 만 변경하여 세대별 지급가능 상한액을 두지 않는다면, 지급대상 4인 이상 세대에 지급하는 국민재난지원금 평균은 42만 원이 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 (기준 1) 건강보험료가 226,880원 이하인 세대만 지급대상으로 함.

<표 1>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 현황

(단위: 원, 세대, 명)

구분

분위

건강보험료 세대수 총세대원수
최소 최대
전체 80,970 3,182,760 25,000 56,750
1분위 80,970 157,150 5,000 11,200
2분위 157,151 187,230 5,000 11,200
3분위 187,231 226,880 5,000 11,450
4분위 226,881 291,940 5,000 11,450
5분위 291,941 3,182,760 5,000 11,450
※ 건강보험료는 세대 단위로 부과된 금액임.

<표 2>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수에 따른 구성비

(단위: %)

세대원수

분위별 세대

1인 2인 3인 4인 이상
1분위 세대 40 20 20 20
2분위 세대 40 20 20 20
3분위 세대 35 25 20 20
4분위 세대 35 25 20 20
5분위 세대 35 25 20 20

4분위, 5분위 세대는 지원받을 수 없다.

 

<표 3>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수에 따른 세대수 및 총세대원수

(단위: 세대, 명)

1인 2인 3인 4인
1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2,000 2,000 3,000 4,200
(4,000)
2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2,000 2,000 3,000 4,200
(4,000)
3분위 세대 세대수 1,750 1,25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1,750 2,500 3,000 4,200
(4,000)
총세대원수
합계
5,750 6,500 9,000 12,600
(12,000)

 

ㄱ. 국민재난지원금 지급 총액은 33억 원 이상이다.

<표 3>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수에 따른 세대수 및 총세대원수

(단위: 세대, 명)

1인 2인 3인 4인
1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2,000 2,000 3,000 4,200
(4,000)
2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2,000 2,000 3,000 4,200
(4,000)
3분위 세대 세대수 1,750 1,25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1,750 2,500 3,000 4,200
(4,000)
총세대원수
합계
5,750 6,500 9,000 12,600
(12,000)

세대별 지급가능 상한액은 40만 원이므로, 4인 이상 세대의 세대원수는 4명이 되고, 상한액은 40만 원이 된다.

(5,750명 + 6,500명 + 9,000명 + 12,000명) × 10만 원 = 33억 2,500만 원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기준 1) 만 변경하여 1인 세대는 보험료 187,230원 이하인 세대에만, 2인 이상인 세대는 보험료 226,880원 이하인 세대에만 지급한다면, 국민재난지원금 지급 총액은 31억 5천만 원이 된다.

<표 3>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수에 따른 세대수 및 총세대원수

(단위: 세대, 명)

1인 2인 3인 4인
1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2,000 2,000 3,000 4,200
(4,000)
2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2,000 2,000 3,000 4,200
(4,000)
3분위 세대 세대수 1,750 1,250 1,000 1,000
총세대원수
(상한)
1,750 2,500 3,000 4,200
(4,000)
총세대원수
합계
4,000 6,500 9,000 12,600
(12,000)

3분위 세대 중 1인 세대는 국민재난지원금을 지급 받을 수 없다.

(4,000명 + 6,500명 + 9,000명 + 12,000명) × 10만 원 = 31억 5,000만 원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기준 3) 만 변경하여 세대별 지급가능 상한액을 두지 않는다면, 지급대상 4인 이상 세대에 지급하는 국민재난지원금 평균은 42만 원이 된다.

<표 3> 건강보험료 분위별 세대의 세대원수에 따른 세대수 및 총세대원수

(단위: 세대, 명)

1인 2인 3인 4인
1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2,000 2,000 3,000 4,200
2분위 세대 세대수 2,000 1,000 1,000 1,000
총세대원수 2,000 2,000 3,000 4,200
3분위 세대 세대수 1,750 1,250 1,000 1,000
총세대원수 1,750 2,500 3,000 4,200
총세대원수
합계
5,750 6,500 9,000 12,600

4인 이상 세대 국민재난지원금 평균:

(4,200+4,200+4,200명)×10만 원3,000세대 = 42만 원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25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