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정치 조직
고려의 통치 체제는 성종 때에 마련한 2성 6부제를 토대로 하였다. 고려는 당의 제도를 받아들이면서도 고려의 실정에 맞게 이를 조정하였다.
중서문하성
중서문하성은 고려의 최고 관서로서, 그 장관인 문하시중이 국정을 총괄하였다
중서문하성은 재신과 낭사로 구성되었다. 재신은 국가의 정책을 심의하고, 낭사는 정치의 잘못을 비판하였다.
낭사는 어사대의 관원 함께 대간으로 불렸다.
재신은 중추원의 추밀과 함께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의 구성원이었다.
상서성
상서성은 실제 정무를 나누어 담당하는 6부를 두고 정책의 집행을 담당하였다.
6부
6부에는 이부, 병부, 호부, 형부, 예부, 공부가 소속되어 있었다.
중추원
중추원은 군사 기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군사 기밀을 담당하면서 재신과 함께 국정을 총괄하는 추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는 승선으로 구성되었다.
추밀은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함께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의 구성원이었다.
삼사
삼사는 송나라와 달리, 단순히 화폐와 곡식의 출납에 대한 회계만 맡았다.
어사대
어사대는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관리의 비리를 감찰하는 임무를 맡았다.
어사대의 관원은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함께 대간으로 불렸다.
대간
대간은 어사대의 관원과 중서문하성의 낭사로 구성된다.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과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보내는 봉박, 관리의 임명과 법령의 개정이나 폐지 등에 동의하는 서경권을 가지고 있었다.
도병마사
도병마사는 고려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관청으로, 재신과 추밀이 함께 모여 회의로 국가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는 곳이다.
도병마사는 국방 문제를 담당하는 임시 기구였으나, 고려 후기에 도평의사사(도당)로 개편되면서 구성원이 확대되고 국정 전반에 걸친 중요 사항을 담당하는 최고 정무 기구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회의 기구의 존재는 고려 귀족 정치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식목도감
식목도감는 고려의 독자성을 보여주는 관청으로, 재신과 추밀이 함께 모여 회의로 국가의 중요한 일을 결정하는 곳이다.
식목도감은 임시 기구로서 국내 정치에 관한 법의 제정이나 각종 시행 규정을 다루던 회의 기구였다.
이러한 회의 기구의 존재는 고려 귀족 정치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고려 시대
- 한국사 이론 전체
- 고려 시대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