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16번 문제 정답

문제

16. 다음 글의 밑줄 그은 ‘이 제도’의 시행 결과로 나타났던 사실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2점]

군적이 문란하고 납속이나 공명첩을 통해 군역을 회피하는 자가 늘어나면서 군역의 재원은 점차 줄어들었다. 재정이 어려워지자 국가의 군포 부과량이 늘어났고, 농민은 도망가거나 양반으로 신분을 바꾸어 군역을 피하는 경향이 늘어났다. 이에 군역의 폐단을 시정하려는 개혁 방안이 논의되고, 마침내 이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로써 농민은 1년에 군포 1필만 부담하면 되었다.
< 보 기 >
ㄱ. 어세, 염세, 선세 등이 국방비에 편입되었다.

ㄴ. 포를 받고 군역을 면제하는 방군수포제가 실시되었다.

ㄷ. 지주들이 결작으로 토지 1결당 미곡 2두를 부담하였다.

ㄹ. 일부 상류층에 선무군관이라는 칭호를 주고 군포를 받았다.

ㅁ. 연분 9등법에 따라 토지 1결당 미곡 4~20두를 납부하게 하였다.

① ㄱ, ㄴ, ㅁ

② ㄱ, ㄴ, ㄹ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ㅁ

⑤ ㄷ, ㄹ, ㅁ

 

 

 

 

 

 

 

 

 

 

 

참고: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정답은 ③번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8년도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