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번 문제 해설이다.
1. 다음은 역할극 수업을 위해 만든 시나리오이다. 이와 관련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S# 17. 대구의 어느 사무실
몇몇 남성과 여성이 사무실로 들어선다. 40대 부인 : 남편이 오랫동안 피우던 담배를 끊고 모은 돈과 내 가락지를 가져왔습니다. 상 인 : 저는 석달 동안 매일 아침밥과 저녁밥을 반으로 줄여 모은 돈을 가져왔습니다. 기 생 : 저는 비록 천한 사람이나 나라의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의연금 모금 운동에 동참하고자 왔습니다. |
① 통감부의 방해 공작으로 실패하였다.
② 대구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③ 대한 매일 신보, 황성 신문 등이 참여하였다.
④ 일본 상품의 관세 면제 조치에 반대하여 시작되었다.
⑤ 일제의 대한 제국 재정 장악 음모에 맞선 운동이었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1907년 일제의 차관 제공에 의한 재정 악화와 경제적 예속화 정책에 저항하여 시작된 국채 보상 운동에 대한 내용이다.
① 통감부의 방해 공작으로 실패하였다.
일제 통감부의 탄압으로 인해 국채 보상 운동은 좌절되고 말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대구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1907년 서상돈, 김광제의 제안으로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대한 매일 신보, 황성 신문 등이 참여하였다.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매일 신보, 황성신문 등의 언론 기관이 모금 운동에 앞장섰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일본 상품의 관세 면제 조치에 반대하여 시작되었다.
일본 상품의 관세 면제 조치에 반대하여 시작된 것은 물산 장려 운동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일제의 대한 제국 재정 장악 음모에 맞선 운동이었다.
일제의 차관 제공에 의한 재정 악화와 경제적 예속화 정책에 저항하여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났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5번 해설 – 민족 말살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4번 해설 – 조선 중립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3번 해설 – 흥선 대원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