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번 문제 해설이다.

 

1. 다음은 역할극 수업을 위해 만든 시나리오이다. 이와 관련된 민족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S# 17. 대구의 어느 사무실

몇몇 남성과 여성이 사무실로 들어선다.

40대 부인 : 남편이 오랫동안 피우던 담배를 끊고 모은 돈과 내 가락지를 가져왔습니다.

상 인 : 저는 석달 동안 매일 아침밥과 저녁밥을 반으로 줄여 모은 돈을 가져왔습니다.

기 생 : 저는 비록 천한 사람이나 나라의 경제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의연금 모금 운동에 동참하고자 왔습니다.

① 통감부의 방해 공작으로 실패하였다.

② 대구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③ 대한 매일 신보, 황성 신문 등이 참여하였다.

④ 일본 상품의 관세 면제 조치에 반대하여 시작되었다.

⑤ 일제의 대한 제국 재정 장악 음모에 맞선 운동이었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1907년 일제의 차관 제공에 의한 재정 악화와 경제적 예속화 정책에 저항하여 시작된 국채 보상 운동에 대한 내용이다.

 

① 통감부의 방해 공작으로 실패하였다.

일제 통감부의 탄압으로 인해 국채 보상 운동은 좌절되고 말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대구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1907년 서상돈, 김광제의 제안으로 대구에서 국채 보상 운동이 시작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대한 매일 신보, 황성 신문 등이 참여하였다.

국채보상운동에 대한 매일 신보, 황성신문 등의 언론 기관이 모금 운동에 앞장섰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일본 상품의 관세 면제 조치에 반대하여 시작되었다.

일본 상품의 관세 면제 조치에 반대하여 시작된 것은 물산 장려 운동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일제의 대한 제국 재정 장악 음모에 맞선 운동이었다.

일제의 차관 제공에 의한 재정 악화와 경제적 예속화 정책에 저항하여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났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