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1번 문제 해설이다.
11. 표는 우리나라 근대화 과정에서 추진된 개혁을 정리한 것이다. 이에 대한 분석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① 지방관의 권한이 이전보다 축소되었다.
② 백성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개혁이 이루어졌다.
③ 일본의 침략 정책과 관련을 가지고 추진되었다.
④ 청나라와 전통적 관계를 공식적으로 폐지하였다.
⑤ 갑신정변 주도 세력의 개혁 주장을 일부 수용하였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갑오개혁, 을미개혁에 대한 내용이다.
① 지방관의 권한이 이전보다 축소되었다.
이에 따르면 지방관의 권한을 대폭 축소시켜, 사법권과 군사권을 배제하고 행정권만을 행사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백성들의 지지를 바탕으로 개혁이 이루어졌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이 일본의 강요에 의해 추진되었기 때문에 당시 백성들은 이에 불만을 가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일본의 침략 정책과 관련을 가지고 추진되었다.
청일 전쟁이 치러지는 가운데 일본군은 갑오개혁을 통해 내정간섭을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청나라와 전통적 관계를 공식적으로 폐지하였다.
홍범 14조에 ‘청에 의존하는 생각을 버리고 자주 독립의 기초를 세운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갑신정변 주도 세력의 개혁 주장을 일부 수용하였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은 전통적 사회 질서를 타파하고 갑신정변 세력의 개혁 요구도 일부 반영한 근대적인 개혁이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3번 해설 – 남북 통일 정책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2번 해설 – 애국 계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1번 해설 – 갑오 을미 개혁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0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9번 해설 – 유신 헌법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8번 해설 – 활빈당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7번 해설 – 문화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6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5번 해설 – 민족 말살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4번 해설 – 조선 중립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3번 해설 – 흥선 대원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