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2번 문제 해설이다.
12. 다음 주장과 유사한 맥락의 활동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만약 충의의 열성을 참을 수 없어 진심으로 국권을 만회하고자 한다면, 눈앞의 치욕을 참고 국가의 원대한 계획을 도모하여 일체 병기를 버리고 …… 농군은 농업을, 공업 기술자는 공업을 열심히 하여 각기 산업에 종사하며 자산을저축하고 자제를 교육하여 지성을 계발하고 실력을 양성하면, 훗날 독립을 회복할 기회를 자연히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실로 오늘 우리들이 힘쓸 정당한 의무이다.
– 황성 신문 – |
①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②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③ 대중을 계몽하기 위해 한글 신문을 발간하였다.
④ 공장 건설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강연을 하였다.
⑤ 구국 영웅의 전기를 저술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일본의 내정 간섭이 심화되자, 독립 협회 계열의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국권을 수호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이들은 사회 진화론을 받아들여 학교를 세워 인재를 기르고, 신문과 잡지 등 언론을 통해 국민을 계몽하였다.
이러한 활동을 애국 계몽 운동이라 한다.
① 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신민회는 평양에 대성 학교, 정주에 오산 학교를 세워 인재를 길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의병에 참여하여 일본군과 전투를 벌였다.
항일 의병 운동은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대중을 계몽하기 위해 한글 신문을 발간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공장 건설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강연을 하였다.
애국 계몽 단체들은 산업을 발전시켜 부국 강병을 이루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구국 영웅의 전기를 저술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이순신이나 을지문덕, 강감찬, 최영 등과 같이 외적을 물리친 민족 영웅의 전기가 많이 쓰여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3번 해설 – 남북 통일 정책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2번 해설 – 애국 계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1번 해설 – 갑오 을미 개혁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0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9번 해설 – 유신 헌법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8번 해설 – 활빈당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7번 해설 – 문화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6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5번 해설 – 민족 말살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4번 해설 – 조선 중립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3번 해설 – 흥선 대원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