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3번 문제 해설이다.
13. 다음은 어느 정부 때의 사실이다. 이 시기의 통일 노력으로 옳은 것은? [3점]
◦ 북방 외교를 추진하여 소련 및 동유럽 공산 국가들과 수교하였다.
◦ 5·18 민주화 운동 진압에 대한 진상과 언론 탄압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청문회를 열었다. |
①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
②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③ 남북한 당국은 정기적인 이산가족의 상호 방문을 합의하였다.
④ 우리 정부는 개성 공단 설치 등 북한과 경제 협력을 추진하였다.
⑤ 남북한 당국은 통일의 3대 원칙을 담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본문의 내용은 노태우 정부 당시 발생한 일이다.
① 분단 이후 처음으로 남북 정상 회담이 개최되었다.
최초의 남북 정상 회담은 김대중 정부 때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1991년 노태우 정부 때,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남북 기본 합의서를 채택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남북한 당국은 정기적인 이산가족의 상호 방문을 합의하였다.
노태우 정부 때에는 이산가족의 상호 방문에 대한 합의를 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우리 정부는 개성 공단 설치 등 북한과 경제 협력을 추진하였다.
김대중 정부 때에 개성 공단 설치 등 북한과 경제 협력을 추진하였다.
노무현 정부 때에 개성 공단이 가동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남북한 당국은 통일의 3대 원칙을 담은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박정희 정부 때에 7·4 남북 공동 성명에서 통일의 3대 원칙으로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이 제시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7번 해설 – 한·중 연합 작전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6번 해설 – 실력 양성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5번 해설 – 독립 협회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4번 해설 – 식민지 근대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3번 해설 – 남북 통일 정책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2번 해설 – 애국 계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1번 해설 – 갑오 을미 개혁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0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9번 해설 – 유신 헌법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8번 해설 – 활빈당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7번 해설 – 문화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6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5번 해설 – 민족 말살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4번 해설 – 조선 중립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3번 해설 – 흥선 대원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 통일을 위한 노력
- 노태우 정부
- 김대중 정부
- 노무현 정부
- 남북 기본 합의서
- 개성 공단
- 7·4 남북 공동 성명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