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4번 문제 해설이다.
14. 선생님의 질문에 대해 부적절한 답변을 한 학생은? [3점]
선생님 : 일제는 식민 통치 기간에 우리 민족의 자유와 권리를 억압하였습니다. 그런데도 일제는 식민 통치를통해 한국이 근대화되었다고 선전하였습니다. 오늘날에도 식민 통치가 한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의 바탕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일본인이 있습니다. 이 주장에 대해 반박할 학생은 의견을 제시해보세요.
민 종 : 광복 이전의 기업과 기술은 일본이 독점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술이 축적되지 못했습니다. 동 혁 : 일제 강점기에 철도와 공장이 건설되었지만, 우리민족을 수탈하기 위한 투자일 뿐이었습니다. 서 영 : 18세기 이후 자생적 근대화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일제의 지배로 인해 그 가능성이 무너졌습니다. 송 이 : 일제의 경제 정책은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농촌 경제와 경공업의 쇠퇴를 가져왔습니다. 지 혜 : 일제 강점기의 우리 경제는 일본 경제에 예속되어 있었고, 그나마 남아있던 산업 시설은 6ㆍ25 전쟁으로 거의 파괴되었습니다. |
① 민종
② 동혁
③ 서영
④ 송이
⑤ 지혜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송 이 : 일제의 경제 정책은 중화학 공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농촌 경제와 경공업의 쇠퇴를 가져왔습니다. |
고무신과 메리야스 등 경공업부문에서는 오히려 일본을 능가하여 일본 본토로 이출까지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④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7번 해설 – 한·중 연합 작전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6번 해설 – 실력 양성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5번 해설 – 독립 협회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4번 해설 – 식민지 근대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3번 해설 – 남북 통일 정책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2번 해설 – 애국 계몽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1번 해설 – 갑오 을미 개혁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0번 해설 – 동학 농민 운동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9번 해설 – 유신 헌법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8번 해설 – 활빈당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7번 해설 – 문화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6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5번 해설 – 민족 말살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4번 해설 – 조선 중립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3번 해설 – 흥선 대원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