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2번 문제 해설이다.

 

2. 다음 ‘정부 이행 각서’가 체결되던 시기의 상황으로 옳은 것은?

◦ 1998년의 경제 성장률은 3% 수준, 물가 상승률은 5% 이내로 유지해야 한다.

◦ 통화 정책은 긴축적으로 운용하고 일시적으로 금리 상승을 허용하며, 탄력적인 환율 제도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

◦ 대통령 선거 후에 금융 개혁법안 연내 처리, 부실 금융기관의 퇴출 제도와 금융 기관의 건전성을 감독하는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① 성장 중심의 경제 정책으로 수출이 늘어났다.

② 석유 파동으로 수입이 늘고 수출이 줄어들었다.

③ 외환 부족, 금융권 부실 등으로 경제 위기를 맞았다.

④ 기업의 연쇄 부도로 미국의 경제 원조에 의존하였다.

⑤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 현상으로 경제 호황을 누렸다.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김영삼 정부는 임기 말인 1997년, 외환 위기가 발생해 국제 통화 기금(IMF)의 구제 금융을 받게 되었다.

 

① 성장 중심의 경제 정책으로 수출이 늘어났다.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석유 파동으로 수입이 늘고 수출이 줄어들었다.

박정부 정부인 1973년과 1978년에 각각 제1차 석유 파동과 제2차 석유 파동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외환 부족, 금융권 부실 등으로 경제 위기를 맞았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기업의 연쇄 부도로 미국의 경제 원조에 의존하였다.

1948년 12월, 이승만 정부는 미국과 한·미 경제 원조 협정을 체결하여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저유가, 저금리, 저달러 현상으로 경제 호황을 누렸다.

전두환 정부 때인 1980년대 중반 세계적인 저유가, 저달러, 저금리의 3저 호황 속에서 한국 경제는 크게 성장하였다.

 

정답은 ③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