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6학년도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3번 문제 해설이다.
3. (가), (나) 정책의 공통점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8도의 사족들이 서원을 건립하여 명현을 제사하고, 무리를 모아 교육을 시키는데 그 폐단이 백성의 생활에 미쳤다. 대원군은 …… 폐단이 큰 서원을 철폐하도록 명령을 내렸다. …… 드디어 600여 개소의 서원을 철폐하고 그 토지를 몰수하여 관청에 속하게 하였다.
(나) 대원군은 동포(洞布)라는 법을 제정하였다. …… 매호에 더부살이 호가 약간씩 있는 것을 정밀하게 밝혀내어 계산하고, 신포(身布)를 고르게 징수하였다. 이 때문에 예전에 면제되던 자라도 신포를 바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 박제형,『 근세조선정감 』 |
< 보 기 > |
ㄱ. 왕권 강화에 기여하였다.
ㄴ. 농민들의 봉기를 초래하였다. ㄷ. 정부의 재정 확충에 도움이 되었다. ㄹ. 유생들의 지지를 받으며 추진되었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서울특별시교육청
문제 해설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에 대한 내용이다.
(가)는 서원 철폐, (나) 호포제 실시에 대한 내용이다.
ㄱ. 왕권 강화에 기여하였다.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로 인해 왕권 강화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농민들의 봉기를 초래하였다.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는 농민들의 봉기를 초래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정부의 재정 확충에 도움이 되었다.
흥선 대원군은 삼정의 문란을 바로잡아 민생을 안정시키고 국가 재정을 늘리려 하였다.
그 중의 하나가 군정의 폐단 개혁을 위한 호포제 실시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유생들의 지지를 받으며 추진되었다.
서원 철폐로 인해 지방 유생들과 양반들은 강력히 반발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모의고사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7번 해설 – 문화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6번 해설 – 정미의병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5번 해설 – 민족 말살 통치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4번 해설 – 조선 중립화론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3번 해설 – 흥선 대원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2번 해설 – IMF 외환위기
- [한국사 기출] 2006년 3월 고3 한국근현대사 학평 모의고사 1번 해설 – 국채 보상 운동
한국사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키워드
수능 이외 한국사 시험 기출 키워드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