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2번 문제 해설이다.
2. (가), (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점]
(가) 공원 담장 내부는 단 열 발자국도 걷지 못하게 사람이 꽉 차 있었다. 갑자기 깊은 정적이 왔고 나는 누군가가 조용한 가운데 연단에서 독립 선언서를 읽는 것을 보았다. 잠깐 동안 침묵이 계속되더니 다음에는 그칠 줄 모르는 만세 소리가 하늘을 찔렀다.
(나) 부정과 불의에 항쟁한 수만 명의 학생 대열은 의기의 힘으로 역사의 수레바퀴를 바로 세웠고 …(중략)… 해마다 4월이 오면 봄을 선구하는 진달래처럼 민족의 꽃들은 사람들의 가슴마다에 되살아 피어나리라. |
① (가)는 지배 정책의 변화를 가져왔고, (나)는 정권 교체를 가져왔다.
② (가)는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나)는 국민의 민주 의식의 성장에 의한 것이었다.
③ (가), (나)는 해외에서 먼저 시작되어 국내로 파급되었다.
④ (가), (나)는 청년·학생이 주도하였고 민중의 참여로 확대되었다.
⑤ (가), (나)는 평화적인 집회와 시위로 시작되어 폭력적인 양상으로 바뀌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3⋅1 운동, (나)는 4·19 혁명에 관한 내용이다.
① (가)는 지배 정책의 변화를 가져왔고, (나)는 정권 교체를 가져왔다.
3⋅1 운동은 일제의 통치 방식에 영향을 주어, 일제는 폭력적인 무단 통치에서 이른바 ‘문화 통치’로 바꾸었다.
4·19 혁명으로 인해 이승만 정부에서 장면 내각으로 정권 교체가 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는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고, (나)는 국민의 민주 의식의 성장에 의한 것이었다.
3⋅1 운동은 미국 윌슨 대통령이 제시한 민족 자결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4·19 혁명은 국민의 민주 의식의 성장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가), (나)는 해외에서 먼저 시작되어 국내로 파급되었다.
3⋅1 운동 전 만주 지린성에서는 국외에서 활동하던 민족 지도자 39인이 무오 독립 선언서(대한 독립 선언)를 발표하여 일제에 대한 육탄 혈전을 결의하였다.
일본 도쿄에 있던 한국인 유학생들은 조선 청년 독립단을 조직하고,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독립 선언서와 결의문을 발표하였다. 이것이 2⋅8 독립 선언이다(1919. 2. 8.).
하지만 4·19 혁명은 해외에서는 시작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가), (나)는 청년·학생이 주도하였고 민중의 참여로 확대되었다.
3⋅1 운동의 경우 탑골 공원에 모인 학생과 시민들은 독립 선언서를 발표한 후, 거리에 나가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평화적으로 만세 시위를 벌였다. 그 뒤 만세 시위는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참여한 계층도 학생, 농민, 노동차, 상인, 교사 등 다양하였다.
4·19 혁명의 경우 역시 1960년 4월 19일, 서울에서 학생과 시민 수만 명이 시위에 나섰다. 그 뒤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였고, 4월 25일에는 대학교수들도 이승만 대통령의 퇴진과 재선거를 요구하는 시국 선언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가), (나)는 평화적인 집회와 시위로 시작되어 폭력적인 양상으로 바뀌었다.
3⋅1 운동의 경우 일제의 무자비한 탄압에 맞서 만세 시위는 점차 무력 저항 운동으로 바뀌었다. 농민을 중심으로 군청, 면사무소, 헌병 경찰 주재소 등 식민 통치 기관을 습격하였으며, 수탈에 가담한 일본인 지주 등을 응징하기도 하였다.
4·19 혁명의 경우 시위대가 부정 선거와 독재 정치를 규탄하며 경무대(현 청와대)로 향하자, 경찰이 시위대에 발포하여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3번 해설 – 갑신정변 김옥균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2번 해설 – 3⋅1 운동 4·19 혁명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수능 한국근현대사 1번 해설 – 병인양요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