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4번 해설 – 삼국 시대 고분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4번 문제 해설이다.

 

4. (가), (나)는 삼국 시대의 무덤 양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나)

① (가)는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남아 있다.

② (가)에는 무덤의 둘레돌에 12지 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③ (나)에는 생활 풍속도와 사신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④ (나)는 백제 초기의 무덤 양식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⑤ (가), (나)의 양식이 사라지면서 굴식 돌방무덤이 유행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돌무지무덤, (나)는 돌무지덧널무덤이다.

 

① (가)는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남아 있다.

돌무지무덤이 아니라 돌무지덧널무덤에 껴묻거리가 남아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가)에는 무덤의 둘레돌에 12지 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12지 신상이 조각되어 있는 것은 굴식 돌방무덤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나)에는 생활 풍속도와 사신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돌무지덧널무덤에는 벽화가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나)는 백제 초기의 무덤 양식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신라에서 주로 만들어졌다.

백제 초기의 무덤 양식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가), (나)의 양식이 사라지면서 굴식 돌방무덤이 유행하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돌무지무덤 또는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어 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