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4번 문제 해설이다.
4. (가), (나)는 삼국 시대의 무덤 양식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 |
(가) | (나) |
① (가)는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남아 있다.
② (가)에는 무덤의 둘레돌에 12지 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③ (나)에는 생활 풍속도와 사신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④ (나)는 백제 초기의 무덤 양식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⑤ (가), (나)의 양식이 사라지면서 굴식 돌방무덤이 유행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① (가)는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남아 있다.
돌무지무덤이 아니라 돌무지덧널무덤에 껴묻거리가 남아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가)에는 무덤의 둘레돌에 12지 신상이 조각되어 있다.
12지 신상이 조각되어 있는 것은 굴식 돌방무덤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나)에는 생활 풍속도와 사신도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돌무지덧널무덤에는 벽화가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나)는 백제 초기의 무덤 양식으로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신라에서 주로 만들어졌다.
백제 초기의 무덤 양식은 계단식 돌무지무덤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가), (나)의 양식이 사라지면서 굴식 돌방무덤이 유행하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돌무지무덤 또는 돌무지덧널무덤에서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어 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07학년도 6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20번 해설 – 고려시대 무역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9번 해설 – 고려 불교 건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8번 해설 – 기묘사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7번 해설 – 숙종 환국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6번 해설 – 친영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5번 해설 – 균역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4번 해설 – 조선 왕권 신권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3번 해설 – 천주교 신유박해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2번 해설 – 조선 후기 문화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1번 해설 – 망이·망소이의 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0번 해설 – 조선 전기 수취 제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9번 해설 – 신라 삼국 통일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8번 해설 – 향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7번 해설 – 고려 거란 전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6번 해설 – 고려 중앙 정치 조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5번 해설 – 마한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4번 해설 – 삼국 시대 고분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통일 신라 신문왕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칠정산 향약집성방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국사 모의평가 1번 해설 – 삼국 간의 항쟁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