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5번 해설 – 3·1 운동 6·10 만세 운동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5번 문제 해설이다.

 

15. 다음은 시기를 달리하는 두 선언문이다. (가)에서 (나)로 내용 변화를 가져온 계기로 가장 알맞은 것은? [3점]

(가) 금일 우리의 이 거사는 정의, 인도, 생존, 존영을 위하는 민족적 요구이니, 오직 자유적 정신을 발휘할 것이요, 결코 배타적 감정으로 치닫지 말라.

(나) 전세계 피압박 민족과 무산자 대중은 모두 함께 정의의 깃발을 들고 우리와 함께 보조를 맞추어 나갈 것이며, 붕괴하고 있는 제국주의의 하나인 일본 지배 계급도 운명이 다하고 있다는 것은 누구에게도 명백하다. 최후까지 싸워 완전 독립을 쟁취하자. 혁명적 민족운동자 단체 만세! 조선 독립 만세!

①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간의 민족 협동 전선이 모색되었다.

② 외교에 의존하는 독립 운동 방식에 대한 기대가 사라졌다.

③ 청년과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보급되었다.

④ 강력한 무장 조직체가 필요하다는 무장 투쟁론이 확산되었다.

⑤ 산업과 교육의 진흥을 중시하는 실력 양성 운동론이 대두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3·1 운동기미 독립 선언문이고, (나)는 6·10 만세 운동의 격문이다.

 

①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간의 민족 협동 전선이 모색되었다.

6·10 만세 운동을 계기로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이 이 운동을 함께 준비하면서 민족 유일당(민족 협동 전선)을 만들어 힘을 합칠 수 있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신간회 창립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외교에 의존하는 독립 운동 방식에 대한 기대가 사라졌다.

6·10 만세 운동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청년과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보급되었다.

1926년 4월 순종이 세상을 떠나자, 사회주의 계열인 조선 공산당은 학생 단체, 천도교 일부 세력과 힘을 모아 순종의 인산일(장례일)인 6월 10일에 대규모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강력한 무장 조직체가 필요하다는 무장 투쟁론이 확산되었다.

6·10 만세 운동에서 무장 투쟁은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산업과 교육의 진흥을 중시하는 실력 양성 운동론이 대두하였다.

3·1 운동 이후 일부 지식인들은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해 먼저 민족의 실력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했고, 실력 양성 운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이러한 실력 양성 운동이 6·10 만세 운동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