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3번 문제 해설이다.
3. 다음 (가), (나) 자료에 담긴 내용의 공통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 대원군을 즉각 환국하게 하고, 청에 대한 조공의 허례를 폐지할 것
○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하고, 능력에 따라 관리를 등용할 것 ○ 재정은 모두 호조에서 관할하도록 할 것 ○ 대신과 참찬은 의정부에서 회의하고, 정령을 공포해서 시행할 것
(나) ○ 청에 의탁하는 생각을 끊고, 자주 독립의 기초를 세울 것 ○ 의정부와 각 아문의 직무 권한을 명확히 정할 것 ○ 조세 과징과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이 관할할 것 ○ 문벌을 가리지 않고 널리 인재를 등용할 것 |
① 재정의 일원화
② 군주권의 강화
③ 청의 종주권 부인
④ 개화 정책의 추진
⑤ 관리 임용 제도의 개혁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갑신정변, (나)는 갑오개혁에 대한 내용이다.
① 재정의 일원화
갑신정변 때 호조로 재정을 일원화를 추진하였다.
갑오개혁 때 탁지아문으로 재정의 일원화를 추진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군주권의 강화
갑신정변 때 군주권을 약화하는 입헌 군주제적 정치 구조를 지향하였다.
갑오개혁 때 왕실 사무와 행정 사무를 분리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청의 종주권 부인
갑신정변 때 청과의 의례적 사대 관계 폐지를 주장했다.
갑오개혁 때 홍범 14조를 통해 청에 의존하는 생각을 버리고 자주 독립의 기초를 세운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개화 정책의 추진
갑신정변을 일으켰던 세력은 개화파였다.
갑오개혁 때 홍범 14조를 통해 총명한 젊은이들을 파견하여 외국의 학술, 기예를 견습시킨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관리 임용 제도의 개혁
갑신정변 때 14개 정강을 통해 문벌을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세워, 능력에 따라 관리를 임명하자고 주장했다.
갑오개혁 때 과거제가 폐지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갑신정변 갑오개혁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2번 해설 – 항일 의병 운동
- [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6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번 해설 – 개항장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 한국사 수능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 한국사 고3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2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고1 학평 모의고사
- 한국사 수능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수능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6월, 9월 모의평가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2점 문제 모음
- 한국사 학평 모의고사 3점 문제 모음
-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 한국사 공무원 시험
연표
- 선사 ~ 고조선 역사 연표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 통일 신라 발해 남북국 시대 역사 연표
- 후삼국·고려 시대 역사 연표
- 조선 전기 역사 연표
- 조선 후기 역사 연표
- 근대 개항 및 국권 피탈 역사 연표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
- 현대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