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국사 모의평가 10번 해설 – 사설 시조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국사 10번 문제 해설이다.

 

10. 다음과 같은 형식의 시조가 널리 유행한 시기의 문화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3점]

① 무덤 안벽에 생전의 생활 모습을 표현한 그림을 그렸다.

② 악곡과 악보를 정리하여 아악이 궁중 음악으로 발전하였다.

③ 민간에 구전되는 이야기를 한문으로 기록한 패관 문학이 성행하였다.

④ 우리의 자연과 일상적인 모습을 소재로 삼아 그리는 화풍이 유행하였다.

⑤ 관리들의 기이한 행적과 서민들의 풍속, 감정이 실려 있는설화 문학이 발달하였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조선 후기 유행했던 사설시조에 대한 내용이다.

 

① 무덤 안벽에 생전의 생활 모습을 표현한 그림을 그렸다.

삼국 시대 고분 벽화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악곡과 악보를 정리하여 아악이 궁중 음악으로 발전하였다.

조선 전기 세종은 악곡과 악보를 정리하게 하고 아악을 체계화함으로써 아악이 궁중 음악으로 발전하게 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민간에 구전되는 이야기를 한문으로 기록한 패관 문학이 성행하였다.

고려 때 민간에 구전되는 이야기를 일부 고쳐 한문으로 기록한 패관 문학이 유행하였다. 이규보의 백운소설과 이제현의 역옹패설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우리의 자연과 일상적인 모습을 소재로 삼아 그리는 화풍이 유행하였다.

조선 후기 당시 사람들의 생활 정경과 일상적인 모습을 생동감 있게 나타낸 풍속화가 유행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관리들의 기이한 행적과 서민들의 풍속, 감정이 실려 있는 설화 문학이 발달하였다.

조선 초기 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일정한 격식 없이 보고 들은 이야기를 적은 설화 문학이다.

그 내용은 관리들의 기이한 행적과 서민들의 풍속, 감정, 역사 의식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9월 국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