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11번 해설 – 자치 운동 신간회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11번 문제 해설이다.

 

11. 그림은 1920년대 민족 운동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가), (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는 문화 통치를 배경으로 등장하였다.

② (가)는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비밀리에 진행되었다.

③ (나)는 기회주의를 배격하고 민족의 단결을 추구하였다.

④ (나)는 지방 조직을 확충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성장하였다.

⑤ (가)의 출현은 (나)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자치 운동(자치론), (나)는 신간회이다.

 

① (가)는 문화 통치를 배경으로 등장하였다.

실력 양성 운동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이광수, 최린, 김성수 등은 일제의 이른바 ‘문화 통치’에 기대를 걸면서 조선 총독부 아래에 자치 정부나 자치 의회를 만들게 해 달라는 자치 운동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는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비밀리에 진행되었다.

자치 운동이 비밀 결사는 아니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나)는 기회주의를 배격하고 민족의 단결을 추구하였다.

신간회는 민족의 단결과 정치적·경제적 각성을 촉구하고 기회주의자를 배격하는 것을 기본 강령으로 내세웠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나)는 지방 조직을 확충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성장하였다.

신간회는 각 지역에 지회를 설립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발전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가)의 출현은 (나)가 나타나는 배경이 되었다.

이상재, 안재홍 등의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들은 자치 운동을 비판하였고, 나아가 사회주의자들과 연대하여 민족 운동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신간회 설립의 계기가 마련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