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모의평가 3번 해설 – 신채호 박은식

문제

다음은 200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 사회탐구영역 한국근현대사 3번 문제 해설이다.

 

3. 다음 (가), (나) 저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는 근대 민족주의 역사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② (가)의 저자는 국난 극복의 영웅을 소개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③ (나)는 식민 사학에 맞섰기 때문에 일제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다.

④ (나)의 저자는 양명학에 토대를 두고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⑤ (가), (나)는 단군 때부터 일제 침략기까지를 서술의 범위로 삼았다.

 

출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문제 해설

(가)는 신채호가 쓴  <독사신론>의 일부이고, (나)는 박은식 쓴 <한국통사>이다.

 

① (가)는 근대 민족주의 역사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신채호는 민족주의 사학자 중 한 명이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의 저자는 국난 극복의 영웅을 소개하여 애국심을 고취하였다.

신채호는 을지문덕전, 강감찬전, 이순신전 등 전기를 저술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나)는 식민 사학에 맞섰기 때문에 일제에 의해 사용이 금지되었다.

일제는 박은식의 <한국통사>를 금지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나)의 저자는 양명학에 토대를 두고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박은식은 유교 구신론을 제창하면서 근대 교육과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가), (나)는 단군 때부터 일제 침략기까지를 서술의 범위로 삼았다.

<한국통사>는 대원군의 개혁 정치 이후의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이다.

 

2007학년도 9월 한국근현대사 수능 모의평가

 

기출 키워드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