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7 국가직 7급 한국사 공책형 13번 문제 정답

문제

문 13. 다음 자료와 관련한 제도에 대한 바른 설명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해주의 공물법을 보면, 토지 1결마다 쌀 한 말을 징수하고 관청은 스스로 물품을 마련하여 서울에 바치기 때문에 백성들은 쌀을 낼 줄만 알지 다른 폐단은 거의 듣지 못하게 되었다. 이것은 오늘날 백성을 구하는 참으로 좋은 법이 될 수 있다. 만약 이 법을 사방으로 넓혀 행한다면 방납의 폐단은 머지않아 저절로 개혁될 것이다.

-율곡전서-

<보 기>
ㄱ. 양반과 지주들의 반대에 부딪쳐 본격적으로 실시하는데 100여 년의 시일이 소요되었다.

ㄴ. 토지 결수에 따라 부과하던 것을 인정과 호를 기준으로 하게 되었다.

ㄷ. 선혜청은 중앙의 궁방이나 관아에서 사용할 유치미의 확보에 주력하였다.

ㄹ. 공인이 등장하였고, 상품 화폐 경제가 활성화되었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ㄷ, ㄹ

 

 

 

 

 

 

 

 

 

 

 

 

참고: 대동법 실시와 공인 등장

정답은 ②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7년도 국가직 7급 한국사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