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2008 국가직 9급 한국사 안책형 6번 문제 정답

문제

문 6. 다음의 묘사와 관련된 외교 사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본 사람이 우리나라의 시문을 구하여 얻은 자는 귀천현우(貴賤賢愚)를 막론하고 우러러보기를 신선처럼 하고 보배로 여기기를 주옥처럼 하지 않음이 없어, 비록 가마를 메고 말을 모는 천한 사람이라도 조선 사람의 해서(楷書)나 초서(草書)를 두어 글자만 얻으면 모두 손으로 이마를 받치고 감사의 성의를 표시한다.

① 1811년까지 십여 차례 수행되었다.

② 일본의 정한론을 잠재우는 데 기여하였다.

③ 일본 막부가 자신의 권위를 높이려는 목적도 있었다.

④ 18세기 후반 일본에서 국학 운동이 일어나는 자극제가 되었다.

 

 

 

 

 

 

 

 

 

 

 

참고: 조선 통신사

정답은 ②번이다.

 

출처: 인사혁신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008년도 국가직 9급 한국사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