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추기]
고분의 종류
돌무지무덤
돌로 쌓아 만든 무덤으로, 청동기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 만들어졌다.
굴식 돌방무덤
돌로 1개 이상의 방을 만들고 그것을 통로로 연결한 무덤으로, 일반적으로 앞방과 널방으로 구분하고, 벽에 그림을 그려 넣기도 하였다.
봉토 주위를 둘레돌로 두르고, 12지 신상을 조각하였다.
돌무지덧널무덤
신라에서 주로 만든 무덤으로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를 넣은 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냇돌을 쌓은 다음에 흙으로 덮었다.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그대로 남아 있다.
![]() 경주 황남동 천마총 |
고구려
고분
고구려는 초기에 주로 돌무지무덤을 만들었으나, 점차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꾸어 갔다.
![]() 장군총 |
고분 벽화
고구려의 고분 벽화는 처음에는 사신도가 유행했으나 점차 생활풍속도로 변화했다.
강서대묘 사신도(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무용총 수렵도(중국 지린성 지안시)
수산리 고분 부인도(평안남도 강서군 수산리)
안악 3호분(황해남도 안악군 오국리)
장천 1호분(중국 길림성 집안시)
![]() 강서대묘 현무도 |
강서대묘 청룡도 |
![]() 무용총 수렵도 |
![]() 무용총 무용도 |
![]() |
|
![]() |
![]() |
백제
고분
계단식 돌무지무덤 – 한강 유역에 있던 초기 한성 시기. 이는 백제 건국의 주도 세력이 고구려와 같은 계통이라는 건국 이야기의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다.
굴식 돌방무덤 – 웅진 시기
벽돌무덤 – 웅진 시기.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완전한 형태로 발견된 무령왕릉이 유명하다.
세련된 굴식 돌방무덤 – 사비 시기
웅진 시기의 고분은 굴식 돌방무덤 또는 널방을 벽돌로 쌓은 벽돌무덤으로 바뀌었다.
사비 시기에는 규모는 작지만 세련된 굴식 돌방무덤을 만들었다.
|
![]() 무령왕릉 |
고분 벽화
백제 돌방무덤과 벽돌무덤에도 벽과 천장에 고구려 사신도와 같은 그림을 그려 넣기도 하였다.
신라
고분
천마총 – 경주 황남동 천마총은 돌무지덧널무덤 형태로 지어졌다.
통일 신라 시대에는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유행하였고, 고분 양식도 거대한 돌무지덧널무덤에서 점차 규모가 작은 굴식 돌방무덤으로 바뀌었다.
고분 벽화
경주 황남동 천마총에서 나온 천마도는 신라의 힘찬 화풍을 잘 보여 주고 있다.
![]() |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삼국 고분과 벽화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삼국 고분과 벽화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삼국 고분과 벽화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삼국 시대
- 한국사 이론 전체
- 삼국 시대 역사 연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