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경
우리 민족의 거족적인 3⋅1 운동과 그로 인하여 악화된 국제 여론에 직면한 일제는 식민 통치 정책의 전환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3⋅1 운동 이후 일제는 이른바 문화 통치를 표방하였다.
일제의 문화 통치는 친일파를 길러 우리 민족을 이간, 분열시키려는 정책으로서, 우리 민족의 단결을 억제하고 독립 운동을 막으려는 방침에는 변함이 없었다.
문화 통치의 실상
문관 총독 임명
일제는 지금까지 현역 군인으로 조선 총독을 임명, 파견하던 것을 고쳐 문관도 그 자리에 임명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일제가 축출될 때까지 단 한 명의 문관 총독도 임명되지 않았다.
보통 경찰 제도
일제는 헌병 경찰제를 보통 경찰제로 바꾸었다
하지만 경찰의 수와 장비, 그리고 그 유지비는 3⋅1 운동 이전보다 크게 증가되었다. 뿐만 아니라 고등 경찰 제도를 실시하여 우리 민족에 대한 감시와 탄압을 더욱 강화시켰다.
언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 우리 민족의 신문 발행이 허가되었다.
하지만 일제는 언론에 대해서 검열을 강화하여 자신들의 비위에 맞지 않는 기사는 마음대로 삭제하였고, 더 나아가 신문의 정간을 다반사로 하였으며, 폐간까지도 서슴지 않았다.
교육
일제는 제2차 조선 교육령(1922년)을 통해 보통 학교의 교육 연한을 4년에서 6년으로 연장하였다. 또한 교육의 기회를 확대해 준다고 했다.
하지만 학교 수는 여전히 부족했고, 조선인의 취학률이 일본인보다 낮았다.
부·면 합의회, 도 평의회
일제는 지방 자치제를 실시하는 것처럼 부 면 합의회를 민선으로 구성하고 도 평의회를 설치했다.
하지만 이 기구는 의결권이 없는 자문 기구일 뿐이었고, 일본인이나 친일 인사로 구성되었다.
치안 유지법(1925년)
일제는 치안 유지법을 이용하여 항일 민족 운동에 대한 감시와 탄압을 더욱 강화하여 많은 한국인을 구속하였다.
자치론의 등장
문화 통치에 동조한 일부 지식인들은 민족 개조론, 자치론, 참정권론 등을 주장하며 민족 운족의 분열을 초래하기도 했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한국사 교과서(금성출판사, 비상교육)
관련 문서
- 일제의 문화 통치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일제의 문화 통치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일제의 문화 통치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일제 강점기
- 한국사 이론 전체
- 일제 강점기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