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정치 구조의 변화
붕당 정치가 전개되면서 정치 구조면에서 비변사의 기능이 강화되고, 3사의 기능이 바뀌는 등 여러 변화가 나타났다.
비변사의 설치
비변사는 16세기 중종 초에 여진족과 왜구에 대비하기 위해 임시 회의 기구로 설치되었다.
비변사의 기능 강화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구성원이 3정승을 비롯한 고위 관원으로 확대되었고, 그 기능도 군사 문제뿐 아니라 외교, 재정, 사회, 인사 문제 등 거의 모든 정무를 총괄하였다.
이와 같이 비변사의 기능이 강화되자, 의정부와 6조 중심의 행정 체계는 유명무실해졌다.
비변사의 구성원
임진왜란 이후 전⋅현직 정승을 비롯하여 공조를 제외한 5조의 판서와 참판, 각 군영 대장, 대제학, 강화 유수 등 국가의 중요 관원들로 확대되었다. |
3사의 변질
3사의 언론 기능도 변질되어 3사는 각 붕당의 이해 관계를 대변하기도 하였다.
3사는 공론을 반영하기보다는 상대 세력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 자기 세력의 유지와 상대 세력의 견제에 앞장서고 있었다.
아울러 이조와 병조의 전랑들도 중하급 관원들에 대한 인사권과 자기 후임자를 스스로 추천할 수 있는 권한을 행사하면서 자기 세력을 확대하고 상대 세력을 몰아 내는데 앞장섰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조선 후기 정치 구조의 변화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조선 후기 정치 구조의 변화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조선 후기 정치 구조의 변화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조선 후기
- 한국사 이론 전체
- 조선 후기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