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다음은 2011년 5급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 일괄채용 제1차 시험 자료해석영역 력책형 15번 문제다.
문제
문 15. 다음 <표>는 ‘갑’ 공제회의 회원기금원금, 회원 수 및 1인당 평균 계좌 수, 자산 현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연말 기준)
(단위: 억원)
년 원금구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회원급여 저축원금 |
19,361 | 21,622 | 21,932 | 22,030 | 23,933 | 26,081 |
목돈수탁원금 | 7,761 | 7,844 | 6,270 | 6,157 | 10,068 | 12,639 |
계 | 27,122 | 29,466 | 28,202 | 28,187 | 34,001 | 38,720 |
<표 2> 공제회 회원 수 및 1인당 평균 계좌 수(연말 기준)
(단위: 명, 개)
년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회원 수 | 166,346 | 169,745 | 162,425 | 159,398 | 162,727 | 164,751 |
1인당 평균 계좌 수 |
65.19 | 64.27 | 58.02 | 61.15 | 67.12 | 70.93 |
<표 3> 2010년 공제회 자산 현황(연말 기준)
(단위: 억원, %)
구 분 | 금 액 | (비중) |
회원급여저축총액 | 37,952 | (46.8) |
차입금 | 17,976 | (22.1) |
보조금 등 | 7,295 | (9.0) |
안정기금 | 5,281 | (6.5) |
목돈수탁원금 | 12,639 | (15.6) |
계 | 81,143 | (100.0) |
※ 회원급여저축총액 = 회원급여저축원금 + 누적이자총액
보기 |
ㄱ. 회원기금원금은 매년 증가하였다. ㄴ. 공제회의 회원 수가 가장 적은 해에 목돈수탁원금도 가장 적다. ㄷ. 2010년에 회원급여저축총액에서 누적이자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이다. ㄹ. 1인당 평균 계좌 수가 가장 많은 해에 회원기금원금도 가장 많다.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ㄱ,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회원기금원금은 매년 증가하였다.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연말 기준)
(단위: 억원)
년 원금구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계 | 27,122 | 29,466 | 28,202 | 28,187 | 34,001 | 38,720 |
전년대비 증감 |
+ | – | – | + | + |
⇒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를 보면 회원기금원금이 2006년까지 증가하다가 2007년에는 전년대비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공제회의 회원 수가 가장 적은 해에 목돈수탁원금도 가장 적다.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연말 기준)
(단위: 억원)
년 원금구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목돈수탁원금 | 7,761 | 7,844 | 6,270 | 6,157 | 10,068 | 12,639 |
<표 2> 공제회 회원 수 및 1인당 평균 계좌 수(연말 기준)
(단위: 명)
년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회원 수 | 166,346 | 169,745 | 162,425 | 159,398 | 162,727 | 164,751 |
⇒ <표 2> 공제회 회원 수 및 1인당 평균 계좌 수를 보면 공제회의 회원 수가 가장 적은 해는 2008년으로 159,398명이다.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을 보면 2008년 목돈수탁원금 금액은 6,157억원으로 표에 제시된 기간 중에 가장 적은 금액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2010년에 회원급여저축총액에서 누적이자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50% 이상이다.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연말 기준)
(단위: 억원)
년 원금구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회원급여 저축원금 |
19,361 | 21,622 | 21,932 | 22,030 | 23,933 | 26,081 |
<표 3> 2010년 공제회 자산 현황(연말 기준)
(단위: 억원)
구 분 | 금 액 | (비중) |
회원급여저축총액 | 37,952 | (46.8) |
⇒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에 따르면 2010년 회원급여저축원금은 26,081억원이다. <표 3> 2010년 공제회 자산 현황에 따르면 회원급여저축총액은 37,952억원이다.
각주에 회원급여저축총액은 회원급여저축원금과 누적이자총액의 합이라고 나와 있다. 따라서 2010년 회원급여저축총액은 회원급여저축원금과 누적이자총액의 합이다.
즉 37,952억원(회원급여저축총액) = 26,081억원(회원급여저축원금) + 누적이자총액이고, 누적이자총액은 37,952억원 – 26,081억원 = 11,871억원이 된다.
2010년에 회원급여저축총액에서 누적이자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frac{11,871}{37,952} ≒ 31.2\%$$
가 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빠른 계산 팁
1. 회원급여저축총액은 회원급여저축원금과 누적이자총액의 합이다. 회원급여저축총액이 약 37,000억원이고, 회원급여저축원금이 약 26,000억원이다. 회원급여저축원금이 이미 회원급여저축총액의 절반을 넘기 때문에 나머지인 회원급여저축총액은 절반인 50% 미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2. 회원급여저축총액이 약 37,000억원이다. 이것의 절반은 약 18,500억원이다. 누적이자총액은 약 11,000억원임이 게산되기 때문에 18,500억원와 비교하면 누적이자총액이 회원급여저축총액의 절반에 못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ㄹ. 1인당 평균 계좌 수가 가장 많은 해에 회원기금원금도 가장 많다.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연말 기준)
(단위: 억원)
년 원금구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회원급여 저축원금 |
19,361 | 21,622 | 21,932 | 22,030 | 23,933 | 26,081 |
<표 2> 공제회 회원 수 및 1인당 평균 계좌 수(연말 기준)
(단위: 명, 개)
년 구 분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1인당 평균 계좌 수 |
65.19 | 64.27 | 58.02 | 61.15 | 67.12 | 70.93 |
⇒ <표 2> 공제회 회원 수 및 1인당 평균 계좌 수에 따르면 1인당 평균 계좌 수가 가장 많은 해는 2010년으로 70.93개이다. <표 1> 공제회 회원기금원금에 따르면 2010년의 회원기금원금은 26,081억원으로 제시된 기간 중에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1 민경채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5번 (월별 상품 판매고 단순이동평균 계산 팁)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4번 (의약품 특허출원 다국적기업 다이어트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3번 (식품사업부 외식사업부 전입 전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2번 (지역별 영유아 인구수 보육시설 정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1번 (외국인 소유 토지면적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0번 (경제 전망 보고서 실업률 경제 성장률 소비자물가)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9번 (국민은행 총자산 당기순이익 그래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8번 (교통사고 발생건수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7번 (양성평등정책)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6번 (친환경 농산물 생산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5번 (회원기금원금 회원급여저축총액)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4번 (정부지원 직업훈련 실업자 재직자 지원금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3번 (암 발생률 그래프 분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2번 (사채발행차금 사채 이자비용 액면이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1번 (TV 프로그램 시청률 45도선 보조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0번 (석유수요 중국 인도 중동 남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9번 (세계 에너지 수요 보고서 자료 이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8번 (외식업체 공급업체 선호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7번 (공익근무요원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6번 (은행 영업수익 이자수익)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5번 (외국인 입국자 수 그래프 보고서 자료 이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4번 (조피볼락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3번 (소득탄력성 소득 구매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번 (약물 완치 환자수)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번 (지식산업센터 개별입지)
2011 민경채 PSAT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6번 (비행기 좌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4번 (임시회 의안 가부동수)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1번 (신재생에너지 녹색성장)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3번 (차 유모차 기차)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7번 (과학, 비과학, 문화자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9번 (도시 인구 순위 배열)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번 (다문화주의 정책)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번 (고려, 명학소, 망이)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6번 (가축화, 폴란)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5번 (의회 의결정족수)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3번 (생물다양성 정책)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5번 (직구 과세표준 목록통관 관세 계산)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5번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3번 (쾌락 가치 시 호떡 행복)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9번 (ICC 재판관할권)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7번 (가수 청중평가단)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1번 (대동법, 조세금납화)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6번 (존 로크 시민 정부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0번 (정당 중앙당 창당 등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4번 (감사 감사인)
민경채 PSAT 자료해석
민경채 PSAT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번 – 고려 향도 매향 향리 군현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번 – 조일통상장정 조일통어장정 조선해통어조합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4번 – 르베리에 불칸 수성 해왕성 천왕성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5번 – 서구사회 기독교적 전통 적그리스도 이교도 나병 흑사병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3번 – 비정규직 프레카리아트 무산계급 긱 노동자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번 (경제활동인구 취업자 실업자)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6번 (교통사고 사상자 건수)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4번 (장기저축급여 공제회)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20번 – 철인3종경기 기록 수영 달리기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4번 (국적항공사 항공사)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4~25번 (조선업 수주량 수주잔량 건조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3번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3번(가스사고 가고건수)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4번 – 사교육비 방과후학교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4번 (주관적 웰빙 지수 종합 지수 산술평균)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번 (안전체험관 생활안전)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7번 (지역발전 재정 자립도)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0번 (자가격리자 감염병)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1번 (직무관련성 심사결과 관련없음 우주청)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1번 (중요도 만족도 산술평균 편차 합)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6번 – 도지사 선거 후보자 TV 토론회 지지율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7번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점수 가중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번(편의점 간편식 판매량 평균)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9번 (지역 화물 이동)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0번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용량)
공무원 PSAT 기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6번 (지방자치단체 통합 안건 논리 문제)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6번 (수석 대표 정부 관료)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7번 (송편 무지개떡)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3번 (정비사업 준공인가신청)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전통적 인식론 심리학)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10만 원 10억 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4번 (가위바위보)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9번 (호기성 세균 혐기성 세균 통성세균 발효 산소)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2번 (사카린 암 쥐 발암물질 유효성 투여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22번 (후기평가점수 최종평가점수)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8번 (휴가지원사업)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언어논리 A책형 3번 (장난감 대여 서비스 운영규정 조례)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2번 (가족관계등록부 김가을)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4번 (광고비 지원사업 지원금)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9번 (국가인증 농가 친환경인증)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4번 (조례 운영규정 출산 예정일 출산일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주민등록)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20번 (수정안 관계부처 협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7번 (포획 채취 대구 전어 꽃게 소라)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13번 (특허출원 착수금 사례금)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연역 귀납 철학 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