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3 5급 자료해석 인책형 29번 해설 – 산업용재

개요

다음은 2013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인책형 29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9. 다음 <표>는 일제강점기 1934~1937년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면?

<표> 일제강점기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지방 도

1934 1935 1936 1937
남부 충북 13,995 22,203 18,212 33,902
충남 86,652 72,710 36,751 38,334
전북 76,293 91,780 79,143 67,732
전남 86,571 113,406 147,874 206,631
경북 87,708 115,219 107,791 97,714
경남 93,412 130,518 123,008 94,154
소계
(비중)
444,631
(14.6)
545,836
(16.0)
512,779
(12.0)
538,467
(12.9)
중부 경기 54,151 45,418 43,352 49,657
강원 183,119 239,854 255,173 281,244
황해 91,312 79,774 81,851 120,973
소계
(비중)
328,582
(10.8)
365,046
(10.7)
380,376
(8.9)
451,874
(10.8)
북부 평남 126,249 140,336 127,819 153,281
평북 914,750 927,381 1,039,252 1,024,969
함남 807,425 752,338 1,206,096 975,422
함북 428,403 687,582 1,013,869 1,030,237
소계
(비중)
2,276,827
(74.6)
2,507,637
(73.4)
3,387,036
(79.1)
3,183,909
(76.3)
합계
(비중)
3,050,040
(100.0)
3,418,519
(100.0)
4,280,191
(100.0)
4,174,250
(100.0)
<보 기>
ㄱ. 1937년 도별 산업용재 생산량은 충남을 제외하고 모두 1934년보다 크다.

ㄴ. 전체 산업용재 생산량 대비 북부지방 생산량 비중은 1934년 74.6%에서 1937년 76.3%로 증가하였다.

ㄷ. 전체 산업용재 생산량 대비 남부지방 생산량 비중은 1934년 14.6%에서 1937년 12.9%로 감소하였고 남부지방의 생산량도 감소하였다.

ㄹ. 산업용재 생산량 비중이 높은 지방부터 나열하면 매년 북부, 남부, 중부 순이다.

ㅁ. 산업용재의 도별 생산량에서, 1934년에 비해 1937년 생산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도는 함북이다.

① ㄱ, ㄷ

② ㄱ, ㄹ

③ ㄴ, ㄹ

④ ㄱ, ㄷ, ㅁ

⑤ ㄴ, ㄷ, ㅁ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1937년 도별 산업용재 생산량은 충남을 제외하고 모두 1934년보다 크다.

<표> 일제강점기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지방 도

1934 1935 1936 1937
남부 충북 13,995 22,203 18,212 33,902
충남 86,652 72,710 36,751 38,334
전북 76,293 91,780 79,143 67,732
전남 86,571 113,406 147,874 206,631
경북 87,708 115,219 107,791 97,714
경남 93,412 130,518 123,008 94,154
소계
(비중)
444,631
(14.6)
545,836
(16.0)
512,779
(12.0)
538,467
(12.9)

전북 역시 1934년이 더 크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전체 산업용재 생산량 대비 북부지방 생산량 비중은 1934년 74.6%에서 1937년 76.3%로 증가하였다.

<표> 일제강점기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지방 도

1934 1935 1936 1937
북부 평남 126,249 140,336 127,819 153,281
평북 914,750 927,381 1,039,252 1,024,969
함남 807,425 752,338 1,206,096 975,422
함북 428,403 687,582 1,013,869 1,030,237
소계
(비중)
2,276,827
(74.6)
2,507,637
(73.4)
3,387,036
(79.1)
3,183,909
(76.3)
합계
(비중)
3,050,040
(100.0)
3,418,519
(100.0)
4,280,191
(100.0)
4,174,250
(100.0)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전체 산업용재 생산량 대비 남부지방 생산량 비중은 1934년 14.6%에서 1937년 12.9%로 감소하였고 남부지방의 생산량도 감소하였다.

<표> 일제강점기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지방 도

1934 1935 1936 1937
남부 충북 13,995 22,203 18,212 33,902
충남 86,652 72,710 36,751 38,334
전북 76,293 91,780 79,143 67,732
전남 86,571 113,406 147,874 206,631
경북 87,708 115,219 107,791 97,714
경남 93,412 130,518 123,008 94,154
소계
(비중)
444,631
(14.6)
545,836
(16.0)
512,779
(12.0)
538,467
(12.9)
합계
(비중)
3,050,040
(100.0)
3,418,519
(100.0)
4,280,191
(100.0)
4,174,250
(100.0)

생산량은 증가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ㄹ. 산업용재 생산량 비중이 높은 지방부터 나열하면 매년 북부, 남부, 중부 순이다.

<표> 일제강점기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지방 도

1934 1935 1936 1937
남부 소계
(비중)
444,631
(14.6)
545,836
(16.0)
512,779
(12.0)
538,467
(12.9)
중부 소계
(비중)
328,582
(10.8)
365,046
(10.7)
380,376
(8.9)
451,874
(10.8)
북부 소계
(비중)
2,276,827
(74.6)
2,507,637
(73.4)
3,387,036
(79.1)
3,183,909
(76.3)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ㅁ. 산업용재의 도별 생산량에서, 1934년에 비해 1937년 생산량이 가장 크게 증가한 도는 함북이다.

<표> 일제강점기의 지역별 산업용재 생산량 추이

(단위: 톤, %)

지방 도

1934 1935 1936 1937
남부 충북 13,995 22,203 18,212 33,902
충남 86,652 72,710 36,751 38,334
전북 76,293 91,780 79,143 67,732
전남 86,571 113,406 147,874 206,631
경북 87,708 115,219 107,791 97,714
경남 93,412 130,518 123,008 94,154
소계
(비중)
444,631
(14.6)
545,836
(16.0)
512,779
(12.0)
538,467
(12.9)
중부 경기 54,151 45,418 43,352 49,657
강원 183,119 239,854 255,173 281,244
황해 91,312 79,774 81,851 120,973
소계
(비중)
328,582
(10.8)
365,046
(10.7)
380,376
(8.9)
451,874
(10.8)
북부 평남 126,249 140,336 127,819 153,281
평북 914,750 927,381 1,039,252 1,024,969
함남 807,425 752,338 1,206,096 975,422
함북 428,403 687,582 1,013,869 1,030,237
소계
(비중)
2,276,827
(74.6)
2,507,637
(73.4)
3,387,036
(79.1)
3,183,909
(76.3)
합계
(비중)
3,050,040
(100.0)
3,418,519
(100.0)
4,280,191
(100.0)
4,174,250
(100.0)

1,030,237 – 428,403 = 601,834톤

1934년에 비해 1937년 생산량이 60만 톤 이상 증가한 도는 함북 뿐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3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