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4 국가직 7급 자료해석 사책형 22번 해설 – 지방소멸위험지수

개요

다음은 2024년도 국가직 7급 PSAT 자료해석영역 사책형 22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22. 다음 <표>는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및 지방소멸위험 수준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A 14,056 2,790 1,501 0.54
B 23,556 3,365 ( ) 0.88
C 29,204 3,495 3,615 1.03
D 21,779 3,889 2,614 0.67
E 11,224 2,300 1,272 ( )
F 16,792 2,043 2,754 1.35
G 19,163 2,469 3,421 1.39
H 27,146 4,045 4,533 1.12
I 23,813 2,656 4,123 ( )
J 29,649 5,733 3,046 0.53
K 36,326 7,596 3,625 ( )
L 15,226 2,798 1,725 0.62
※ 지방소멸위험지수=\(\dfrac{\text{20~39세 여성 인구}}{\text{65세 이상 인구}}\)

<표 2> 지방소멸위험 수준

지방소멸위험지수 지방소멸위험 수준
1.5 이상 저위험
1.0 이상 1.5 미만 보통
0.5 이상 1.0 미만 주의
0.5 미만 위험

① 지방소멸위험 수준이 ‘주의’인 동은 5곳이다.

② ‘20~39세 여성 인구’는 B동이 G동보다 적다.

③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동의 ‘65세 이상 인구’는 해당 동 ‘총인구’의 10% 이상이다.

④ ‘총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다.

⑤ 지방소멸위험 수준이 ‘보통’인 동의 ‘총인구’ 합은 90,000명 이상이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A 14,056 2,790 1,501 0.54
B 23,556 3,365 0.88
C 29,204 3,495 3,615 1.03
D 21,779 3,889 2,614 0.67
E 11,224 2,300 1,272
F 16,792 2,043 2,754 1.35
G 19,163 2,469 3,421 1.39
H 27,146 4,045 4,533 1.12
I 23,813 2,656 4,123
J 29,649 5,733 3,046 0.53
K 36,326 7,596 3,625
L 15,226 2,798 1,725 0.62

20~39세 여성 인구: 65세 이상 인구 × 지방소멸 위험지수

①: 2,961

②: 0.55

③: 1.55

④: 0.48

 

① 지방소멸위험 수준이 ‘주의’인 동은 5곳이다.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A 14,056 2,790 1,501 0.54
B 23,556 3,365 2,961 0.88
C 29,204 3,495 3,615 1.03
D 21,779 3,889 2,614 0.67
E 11,224 2,300 1,272 0.55
F 16,792 2,043 2,754 1.35
G 19,163 2,469 3,421 1.39
H 27,146 4,045 4,533 1.12
I 23,813 2,656 4,123 1.55
J 29,649 5,733 3,046 0.53
K 36,326 7,596 3,625 0.48
L 15,226 2,798 1,725 0.62

6곳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20~39세 여성 인구’는 B동이 G동보다 적다.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B 23,556 3,365 2,961 0.88
G 19,163 2,469 3,421 1.39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높은 동의 ‘65세 이상 인구’는 해당 동 ‘총인구’의 10% 이상이다.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A 14,056 2,790 1,501 0.54
B 23,556 3,365 2,961 0.88
C 29,204 3,495 3,615 1.03
D 21,779 3,889 2,614 0.67
E 11,224 2,300 1,272 0.55
F 16,792 2,043 2,754 1.35
G 19,163 2,469 3,421 1.39
H 27,146 4,045 4,533 1.12
I 23,813 2,656 4,123 1.55
J 29,649 5,733 3,046 0.53
K 36,326 7,596 3,625 0.48
L 15,226 2,798 1,725 0.62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총인구’가 가장 많은 동은 지방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다.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A 14,056 2,790 1,501 0.54
B 23,556 3,365 2,961 0.88
C 29,204 3,495 3,615 1.03
D 21,779 3,889 2,614 0.67
E 11,224 2,300 1,272 0.55
F 16,792 2,043 2,754 1.35
G 19,163 2,469 3,421 1.39
H 27,146 4,045 4,533 1.12
I 23,813 2,656 4,123 1.55
J 29,649 5,733 3,046 0.53
K 36,326 7,596 3,625 0.48
L 15,226 2,798 1,725 0.62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지방소멸위험 수준이 ‘보통’인 동의 ‘총인구’ 합은 90,000명 이상이다.

<표 1> 2022년 3월 기준 ‘갑’시 A~L동의 지방소멸위험지수

(단위: 명)

총인구 65세 이상
인구
20~39세
여성 인구
지방소멸
위험지수
A 14,056 2,790 1,501 0.54
B 23,556 3,365 2,961 0.88
C 29,204 3,495 3,615 1.03
D 21,779 3,889 2,614 0.67
E 11,224 2,300 1,272 0.55
F 16,792 2,043 2,754 1.35
G 19,163 2,469 3,421 1.39
H 27,146 4,045 4,533 1.12
I 23,813 2,656 4,123 1.55
J 29,649 5,733 3,046 0.53
K 36,326 7,596 3,625 0.48
L 15,226 2,798 1,725 0.62

29,204 + 16,792 + 19,163 + 27,146 = 92,305명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①번이다.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