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3번 (연평균 증가율 판매수량 평균 판매단가 지수)

개요

다음은 2020년 국가직 7급 PSAT 예시문제 자료해석영역 A책형 3번 문제다.

문제

문 3. 다음 <그림>은 2012 ~ 2018년 동안 A제품과 B제품의 판매수량 및 평균 판매단가를 지수화하여 표시한 것이다. <그림>으로부터 알 수 없는 것은?

<그림 1> A제품과 B제품의 판매수량 지수

※ 판매수량 지수는 2011년의 판매수량을 100으로 하였을 때 해당연도 판매수량의 상대적 비율임.

 

<그림 2> A제품과 B제품의 평균 판매단가 지수

1) 평균 판매단가 지수는 2011년의 평균 판매단가를 100으로 하였을 때 해당연도 평균 판매단가의 상대적 비율임.
2) 2011년 A제품의 평균 판매단가는 B제품과 동일함.
3) 매출액=평균 판매단가×판매수량

 

① A제품 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② 2012년 A제품 매출액 대비 B제품 매출액 비율
③ B제품 평균 판매단가의 연평균 증가율
④ 2018년 B제품 평균 판매단가 대비 A제품 평균 판매단가 비율
⑤ B제품 판매수량의 연평균 증가율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A제품 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매출액은 평균 판매단가와 판매수량의 곱이다.

<그림 1>은 A제품과 B제품의 판매수량 지수를 나타내는데 판매수량 지수는 2011년의 평균 판매단가를 100으로 하였을 때 해당연도 평균 판매단가의 상대적 비율이다.

<그림 2>는 A제품과 B제품의 평균 판매단가 지수를 나타내는데 평균 판매단가 지수는 2011년의 평균 판매단가를 100으로 하였을 때 해당연도 평균 판매단가의 상대적 비율이다.

따라서 판매수량과 평균 판매단가의 상대적 비율로는 A제품의 매출액을 구할 수 없다. 하지만 일정 기간의 증가율은 구할 수 있다.

만약 A제품의 2011년 판매수량을 X개, 평균 판매단가를 Y원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2011년 매출액은 (X×Y)원일 것이다.

A제품의 2018년 판매수량은 (X×160%)개, 평균 판매단가는 (Y×130%)원이다. 그렇다면 2018년 매출액은 (X×160%)×(Y×130%)원일 것이다.

A제품의 2011년 매출액에 대한 2018년의 매출액 비율은 \(\frac{(X×160\%)×(Y×130\%)}{(X×Y)}\)로 결국 2018년 A제품의 판매수량 지수와 평균 판매단가 지수의 곱인 160%×130%와 같다.

연평균 증가율이란 복리 개념으로 해당 기간 동안 관찰값이 매년 평균적으로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가율을 말한다. 연평균 증가율은 기간 최초값과 최종값만 있으면 구할 수 있다.

연평균 증가율 공식은

연평균 증가율 \(=\left ( \frac{\text{최종값}}{\text{최초값}} \right )^\frac{1}{\text{해당기간}-1}-1\)

이다. 지수 부분의 (해당기간-1)은 이 문제에 적용하면 2011년부터 2018년까지 8년의 기간 중에서 기준년도 2011년을 뺀 7년 동안의 기간을 나타낸다.

즉 A제품 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공식은

A제품 매출액 연평균 증가율 \(=\left ( \frac{160\%×130\%}{100\%×100\%} \right )^\frac{1}{7}-1\)

이다. 이렇게 구한 A제품의 연평균 증가율은 약 11%이다. 연평균 증가율을 구하는 것은 공학용 계산기가 필요하고 이 문제에서 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참고임을 알려둔다.

즉 매출액 산정을 위한 평균 판매단가와 판매수량을 몰라도 A제품 매출액의 연평균 증가율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2012년 A제품 매출액 대비 B제품 매출액 비율

위 보기 ①번에서 본 바와 같이 각 제품의 정확한 매출액을 산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주어진 자료는 각 제품의 2011년 판매수량과 평균 판매단가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비율을 지수로 나타냈기 때문이다.

보기의 내용을 구하기 위해서는 2012년 A, B 각 제품의 판매수량을 알아야 하는데 주어진 자료에서는 알 수 없다(판매단가는 2011년 A제품과 B제품의 평균 판매단가가 동일하다고 주어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B제품 평균 판매단가의 연평균 증가율

위 보기 ①번에서 본 바와 같이 B제품의 평균 판매단가의 연평균 증가율은 평균 판매단가 자료가 없어도 평균 판매단가 지수만으로도 알 수 있다.

B제품의 평균 판매단가의 연평균 증가율을 구하는 공식은

B제품 평균 판매단가 연평균 증가율 \(=\left ( \frac{125\%}{100\%} \right )^\frac{1}{7}-1\)

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2018년 B제품 평균 판매단가 대비 A제품 평균 판매단가 비율

<그림2> 아래 설명에서 2011년 A제품의 평균 판매단가는 B제품과 동일하다고 주어졌다. 따라서 2018년 B제품 평균 판매단가 대비 A제품 평균 판매단가 비율을 구할 수 있다.

공식은

2018년 B, A제품 평균 판매단가 비율 \(=\left ( \frac{130\%}{125\%} \right )\)

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B제품 판매수량의 연평균 증가율

위 보기 ①번에서 본 바와 같이 B제품의 판매수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판매수량 자료가 없어도 판매수량 지수만으로도 알 수 있다.

B제품 판매수량의 연평균 증가율 공식은

B제품 판매수량의 연평균 증가율 \(=\left ( \frac{129\%}{100\%} \right )^\frac{1}{7}-1\)

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2020 국가직 7급 PSAT 예시문제 자료해석

2020 국가직 7급 PSAT 예시문제

국가직 7급 PSAT 자료해석

국가직 7급 PSAT

PSAT 자료해석

공무원 PSAT 기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