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지배층의 형성
지방 호족 출신으로 중앙 관료가 된 계열과 신라 6두품 계통의 유학자가 중앙에서 새로운 지배층으로 형성되어 갔다.
문벌 귀족
문벌 귀족은 여러 세대에 걸쳐 중앙에서 고위 관직자를 배출한 가문을 뜻한다.
권력과 경제력
문벌 귀족은 과거와 음서를 통하여 관직을 독점하고,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재상이 되어 정국을 주도해 나갔다.
관직에 따라 과전을 받고, 또 자손에게 세습이 허용되는 공음전의 혜택을 받았을 뿐 아니라, 권력을 이용하여 불법적으로 개인이나 국가의 토지를 차지하여 정치 권력과 함께 경제력까지 거의 독점하였다.
혼인
이들은 비슷한 부류끼리 혼인 관계를 맺어 권력을 더욱 단단하게 장악하였다.
특히,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어 외척으로서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권을 장악하기도 하였다.
모순 표출
과거를 통하여 진출한 지방 출신의 관리 중에서 일부는 왕에게 밀착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보좌하는 측근 세력이 되어 문벌 귀족과 대립하였다.
이자겸의 난과 서경 천도 운동은 이들 정치 세력 간의 대립과 갈등이 표면으로 드러난 사건이었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고려 문벌 귀족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고려 문벌 귀족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고려 문벌 귀족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고려 시대
- 한국사 이론 전체
- 고려 시대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