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역사 서술의 형식(편년체 기전체) – 기출 요약

기전체

기전체란 역사를 서술할 때 제왕의 정치와 행적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기(紀), 문물과 제도 등의 연혁을 항목별로 서술한 지(志), 인물들의 행적을 담은 열전(列傳) 등으로 나누어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기전체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편년체

편년체는 왕을 중심으로 연·월·일에 따라 기록한 것을 말한다.

 

편년체 역사서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강목체

강목체는 역사를 연 · 월 · 일순에 따라 강과 목으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사실에 대하여 먼저 ‘강(개요)을 요약하여 쓰고 다음에 ‘목'(자세한 경위)를 쓰는 형식으로 서술한다.

 

강목체 역사서

안정복의 동사강목

 

기사본말체

기사본말체는 시대 순으로 사건을 서술하되, 인과 관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의 전말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서술 방식이다.

 

기사본말체 역사서

이긍익의 연려실기술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