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22번 문제 정답

문제

다음은 2006년도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3급 22번 문제와 정답이다.

 

22. 18세기에 논쟁이 되었던 (가), (나) 이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점]

(가) 사람과 사물이 귀하고 천함이 차이가 있다고 해도 하늘이라는 절대적 관점에서 보면 사람과 사물은 균등하다. 사물을 천하게 보고 인간을 귀한 존재로 보는 생각이야말로 진리를 해치는 가장 근본 요인이다.

(나) 물(物)에도 인의예지라는 도덕성이 있다. 다만, 인간은 그 전체를 가지고 있지만 물은 일부분만 가지고 있다. 사람과 동물은 인의예지신과 같은 고차적인 도덕성에서는 본질적인 차이가 있다.

① (가) – 북학 사상으로 연결되었다.

② (가) –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같다고 본다.

③ (나) – 통상 개화론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④ (나) – 충청도 지역의 호론(湖論)의 입장이다.

⑤ (가), (나) – 노론 내에서 전개된 논쟁이다.

 

 

 

 

 

 

 

 

 

 

참고: 조선 후기 성리학의 교조화 경향

정답은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6년도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