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기출]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24번 문제 정답

문제

24. 다음 자료들을 통해 당시 시대 상황을 파악하고자 할 때, 탐구 활동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2점]

  • 근래 도적이 벌 떼처럼 일어나 공공연하게 노략질을 하며 양민을 죽이고 방자한 행동을 거리낌없이 하여도 주현에서 막지 못하고 병사도 잡지 못하니, 그 형세가 점점 커져서 여러 곳으로 퍼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서울에서도 떼로 일어나 빈집에 진을 치고 밤이면 모였다가 새벽이면 흩어지고 칼로 사람을 다치게 합니다.

– 〈명종실록〉-

  • 지방에서 토산물을 공물로 바칠 때, (중앙 관청의 서리가) 공납을 일절 막고 본래 값의 백 배가 되지 않으면 받지도 않습니다. 백성이 견디지 못하여 세금을 못 내고 도망하는 자가 줄을 이었습니다.

– 〈선조실록〉-

① 방납의 폐단이 초래한 영향을 조사한다.

② 수미법 실시를 주장했던 사람들을 조사한다.

③ 환곡제의 운영 과정에서 나타난 폐단에 대해 알아본다.

④ 토지에 부과되는 결작의 부담이 농민에게 전가된 원인을 알아본다.

⑤ 다른 사람을 사서 군역을 대신하게 하는 현상이 나타난 배경을 알아본다.

 

 

 

 

 

 

 

 

 

 

 

 

참고: 조선 전기의 수취 제도의 문란

정답은 ④번이다.

 

출처: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2008년도 제5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한국사 시험 모음

연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