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선조가 즉위하면서 그 동안 향촌에서 세력 기반을 다져 오던 사림 세력이 대거 중앙 정계로 진출하여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사림 세력은 척신 정치의 잔재를 어떻게 청산할 것인가를 둘러싸고 갈등을 겪게 되었다. 명종 때 이후 정권에 참여해 온 기성 사림은 척신 정치의 과감한 개혁에 소극적이었다.
반면에, 명종 때의 정권에 참여하지 않았다가 새롭게 정계에 등장한 신진 사림은 원칙에 더욱 철저하여 사림 정치의 실현을 강력하게 내세웠다.
이조 전랑 임명 문제
붕당은 인사권을 가진 이조 전랑의 임명 문제와 공론을 둘러싸고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뉜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조 전랑은 삼사의 관리에 대한 인사를 좌우할 수 있었고, 스스로 자기 후임자를 추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인 삼사의 관리들은 언론을 통해 이조 전랑을 지원하였다.
동인과 서인
동인은 이황과 조식, 서경덕의 학문을 계승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다수의 신진 세력이 참여하여 먼저 붕당의 형세를 이루었다.
반면에, 서인은 이이와 성혼의 문인이 가담함으로써 비로소 붕당의 모습을 갖추었다.
정여립 모반 사건
처음 동인이 우세한 가운데 정국이 운영되었다.
동인은 정여립 모반 사건 등을 계기로 온건파인 남인과 급진파인 북인으로 나뉘었다.
서인 | 동인 | |
이이, 성혼 | 서경덕, 조식, 이황 | |
정여립 모반사건 | ||
북인(급진파) | 남인(온건파) | |
서경덕, 조식 | 서경덕, 조식 |
인조 반정
광해군의 지지 세력인 북인은 서인과 남인을 배제한 채 정권을 독점하려 하였다.
광해군의 영창 대군 살해와 인목 대비 유폐 등으로 결국 인조 반정이 일어나 광해군과 북인은 몰락하였다.
예송
현종 때까지 서인이 우세한 가운데 남인과 연합하여 공존하는 구도가 유지된 채 붕당 정치가 전개되었다.
현종 때에 효종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하면서 서인과 남인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었다.
1차 예송
1659년 기해예송.
기년복 1년.
당시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서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졌다.
2차 예송
1674년 갑인예송.
기년복 1년.
남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져 서인이 약화되고 남인 중심의 정국이 운영되었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 조선 붕당 정치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조선 붕당 정치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조선 붕당 정치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조선 전기
- 한국사 이론 전체
- 조선 전기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