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조선 후기 사상의 대두 – 기출 요약

배경

조선 후기에는 농업 생산력이 증대되고 수공업 생산이 활발해지면서 상품의 유통도 활성화되었다. 부세 및 소작료의 금납화, 인구의 자연 증가와 인구의 도시 유입도 상품 화폐 경제의 진전을 더욱 촉진하였다.

 

부세의 금납화

토지세와 각종 역을 돈으로 환산하여 납부하는 것이다.

 

신해통공

1791년 정조는 금난전권을 폐지하여 도성 안에서 시전 상인이 아닌 난전의 상업 활동을 허락하였다. 이를 신해통공이라고 한다.

 

공인의 등장

대동법이 실시되면서 공인이라는 어용 상인이 나타났다. 이들은 관청에서 공가를 미리 받아 필요한 물품을 사서 납부하였다. 공인이 시장에서 많은 물품을 구매하였으므로 상품 수요가 증가하였다.

 

사상의 등장

처음에는 공인이 상업 활동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18세기 이후에는 사상이 서울을 비롯한 각지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사상의 활동은 주로 칠패, 송파 등 도성 주변에서 이루어졌지만, 개성, 평양, 의주, 동래 등 지방 도시에서도 활발하였다. 그들은 각 지방의 장시를 연결하면서 물품을 교역하고, 각지에 지점을 두어 상권을 확장하였다.

 

송상

개성의 송상은 전국에 지점을 설치하여 활동 기반을 강화하였는데, 주로 인삼을 재배, 판매하고 대외 무역에도 깊이 관여하여 부를 축적하였다.

 

경강상인

경강상인은 운송업에 종사하면서 거상으로 성장하였다. 그들은 선박의 건조 등 생산 분야에까지 진출하여 활동 분야를 넓히기도 하였다.

 

내상

조선 시대 동래부(東萊府, 현재의 부산)에서 일본과 무역을 하였다.

 

만상

의주에서 활동하던 만상은 대중국 무역을 주도하면서 재화를 많이 축적하였다.

 

도고의 등장

일부 공인과 사상은 독점적 도매상인인 도고로 성장하였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