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구의 변화
1955~1960년 사이 평균 출산율은 6.3명에 달한 반면, 사망률은 점차 낮아져 인구는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1960년대에 들어와 정부는 가족 계획 사업을 시작하여 출산율을 낮추려 노력하였다. 여기에 여성의 혼인 연령 상승, 자녀 교육비 증가, 자식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피임 확산 등으로 출산율은 점점 낮아졌다.
산업화
1960년대에 들어와 경제 개발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서 우리 나라는 전통적인 농업 사회에서 산업 사회로 빠르게 바뀌어 갔다.
도시화
정부는 주택 문제를 해결하려 대규모 도시 정비 사업을 진행하였다.
빈민들은 강제로 다른 지역으로 쫓겨났으며, 빈민촌이 있던 곳에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이 과정에서 와우아파트 붕괴 참사, 광주 대단지 사건 등이 일어났다.
광주 대단지 사건
1971년 정부와 서울시가 서울의 판자촌 주민들을 경기도 광주(성남)로 강제 이주하는 과정에서 일어났다. |
농촌 사회
새마을 운동
중화학 공업의 육성과 함께 정부는 농촌의 근대화와 생활 향상을 위해 새마을 운동을 추진하였다.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한 새마을 운동을 계기로 농⋅어민들의 환경 개선과 소득 증대 사업이 이루어져, 농⋅어촌의 생활 수준과 소득도 점차 높아져 갔다.
노동 운동
전태일 분신 사건
1970년 11월에 서울 청계천 평화 시장에서 재단사로 일하던 전태일이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자기 몸을 불살라 암울한 노동 현실을 사회에 고발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은 노동자뿐만 아니라, 학생, 지식인, 종교계 등에 큰 충격을 주었다.
YH 무역 사건
박정희 정부는 노동자의 노동 3권을 크게 제한하여 노동 운동을 탄압하였다.
1979년 야당(신민당) 당사에서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며 농성하던 YH 무역 여성 노동자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건이 일어났다.
국제 노동 기구(ILO)
1991년 정부는 국제 노동 기구(ILO)에 가입하여 국제 수준의 노동 규칙을 따르고자 하였다.
노사정 위원회
1997년 외환 위기로 국제 통화 기금(IMF)의 관리를 받게 되면서 노동자의 대량 실직 사태가 발생하였다.
이에, 김대중 정부는 노사정 위원회를 구성하여 구조 조정에 따른 실업이나 노사 문제 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사회 제도의 변화
1977년 | 의료 보험법 제정 |
1986년 | 최저 임금법 제정 |
1987년 | 남녀 고용 평등법 제정 |
1988년 | 국민연금 제도 시행 |
1995년 | 사회 보장 기본법 제정 |
1999년 |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제정 |
2008년 | 호주제 폐지, 가족 관계 등록부 |
교육 제도의 변화
6⋅3⋅3 학제
광복 이후 미국식 교육 제도의 영향으로 6⋅3⋅3 학제가 도입되어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국민 교육 헌장(1966년)
박정희 정부는 국민 교육 헌장을 제정하여 학생들에게 암송하도록 강요하였다.
중학교 무시험 제도
1969년 정부는 중학교 무시험 진학 제도를 시행하였다.
고교 평준화 제도
1974년 정부는 고교 평준화 제도를 시행하였다.
과외 전면 금지
1981년 정부는 과외 전면 금지를 시행하여 높은 교육열에 따른 부작용을 줄이고자 하였다.
언론 활동
경향신문 폐간
이승만 정부는 언론 탄압을 강화하면서 정부에 비판적인 경향신문을 폐간하였다.
동아일보 백지 광고 사태
박정희 정부는 언론계에 자유 언론 실천 운동이 확산되자 유신 체제는 광고주에게 압력을 가하여 <동아일보>에 광고를 싣지 못하도록 하는 광고 탄압을 자행하였다.
참고: 국사 편찬 위원회, 한국사 교과서(금성출판사, 비상교육, 동아출판, 해냄에듀)
관련 문서
- 현대 사회와 문화 관련 수능 및 모의고사 기출 모음
- 현대 사회와 문화 관련 한국사능력검정시험(한능검) 기출 모음
- 현대 사회와 문화 관련 공무원 시험 기출 모음
- 한국사 이론 – 현대사
- 한국사 이론 전체
- 현대사 역사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