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1 5급 언어논리 우책형 1번 해설 – 언문

개요

다음은 2011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우책형 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가)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이 있게 된다. 옛날 사람은 소리에 근거하여 글자를 만듦으로써 만물의 실정을 소통시키고 삼재(三才)※의 도리를 기록하게 하였다. 이는 뒷세상에서 변경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런데 사방의 풍토는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소리 역시 서로 다르기 마련이다. 대개 중국 밖 나라들의 말은 그 소리는 있어도 글자가 없으므로 중국의 문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니, 이는 마치 둥근 막대를 네모난 구멍에 끼워 넣을 때 잘 맞지 않는 것과 같다. 그러니 어찌 말이 막힘없이 잘 통할 수 있겠는가? 요컨대 모두 각자의 처지에 따라 편안하게 해야지 억지로 같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동방의 예악과 문물은 중국에 비견되지만, 방언과 속말만은 중국과 다르다. 이에 따라 글을 배우는 사람은 그 뜻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근심하고, 옥사를 다스리는 사람은 그 자세한 사정을 소통하기 어렵다고 괴로워한다. 동방에 나라가 생긴 지 오래되었지만 문명을 개척하는 큰 지혜는 오늘날 넓게 펼쳐져 드러나야 할 것이다.

(나) 우리 조선은 역대 임금들 이래로 지성으로 대국을 섬기고 한결같이 중화의 제도를 존숭해 왔는데, 지금까지 글을 같이하고 법도를 같이하였다가 이제 언문을 창제하시니 보고 듣기에 놀라움이 있습니다. 역대로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에 기자(箕子)가 남긴 풍속이 간직되어 있다 하고, 우리나라의 문물과 예악의 융성을 중화에 견주어 말하기도 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제 따로 언문을 만드는 것은 중국을 버리고 스스로 오랑캐와 같아지려는 것으로서, 어찌 문명에 큰 흠집을 내는 것이 아니오리까! 진실로 언문을 배운 자가 관리가 되어 현달한다면, 후진이 모두 이를 보고 생각하기를 28자의 언문으로도 족히 출세할 수 있다고 여길 것이니, 무엇 때문에 애써서 성리학을 궁구하려 하겠습니까?

※ 삼재: 하늘・땅・사람

① (가)에 따르면, 소리에 따라 문자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말을 막힘없이 잘 통하게 할 수 있다.

② (가)에 따르면, 옛 사람들의 문자 제작 원리를 고쳐 조선의 실정에 맞는 언문을 창제할 필요가 있다.

③ (가)에 따르면, 한시적으로 중국의 글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면 사람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④ (나)에 따르면, 언문의 창제는 들어본 적이 없는 놀라운 사건으로서 지혜를 발휘하여 문명을 개척한 결과이다.

⑤ (나)에 따르면, 한문을 고수해야 하는 이유는 한문이 없어졌을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가)에 따르면, 소리에 따라 문자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말을 막힘없이 잘 통하게 할 수 있다.

(가) 천지자연의 소리가 있으면 반드시 천지자연의 글이 있게 된다. 옛날 사람은 소리에 근거하여 글자를 만듦으로써 만물의 실정을 소통시키고 삼재(三才)※의 도리를 기록하게 하였다. 대개 중국 밖 나라들의 말은 그 소리는 있어도 글자가 없으므로 중국의 문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니, 이는 마치 둥근 막대를 네모난 구멍에 끼워 넣을 때 잘 맞지 않는 것과 같다. 그러니 어찌 말이 막힘없이 잘 통할 수 있겠는가? 요컨대 모두 각자의 처지에 따라 편안하게 해야지 억지로 같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동방의 예악과 문물은 중국에 비견되지만, 방언과 속말만은 중국과 다르다. 이에 따라 글을 배우는 사람은 그 뜻을 이해하기 어렵다고 근심하고, 옥사를 다스리는 사람은 그 자세한 사정을 소통하기 어렵다고 괴로워한다.

(가)에 따르면, 옛날 사람은 소리에 근거하여 글자를 만듦으로써 만물의 실정을 소통시키고 삼재(三才)의 도리를 기록하게 하였다. 그런데 중국 밖 나라들의 말은 그 소리는 있어도 글자가 없으므로 중국의 문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니, 말이 막힘없이 잘 통할 수가 없었다.

그러므로 소리에 따라 문자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말을 막힘없이 잘 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가)에 따르면, 옛 사람들의 문자 제작 원리를 고쳐 조선의 실정에 맞는 언문을 창제할 필요가 있다.

옛 사람들의 문자 제작 원리를 고치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문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지 않고 우리 소리에 맞게 언문을 창제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가)이 입장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가)에 따르면, 한시적으로 중국의 글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면 사람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가)에 따르면, 중국 밖 나라들의 말은 그 소리는 있어도 글자가 없으므로 중국의 문자를 빌려서 일상생활에 사용하니, 잘 맞지 않아 말이 막힘없이 잘 통할 수가 없다. 결국 사람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나)에 따르면, 언문의 창제는 들어본 적이 없는 놀라운 사건으로서 지혜를 발휘하여 문명을 개척한 결과이다.

(나)에 따르면, 언문을 창제하는 것은 우리가 존숭해온 중국을 버리고 스스로 오랑캐와 같아지려는 것으로서, 문명에 큰 흠집을 내는 것과 같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나)에 따르면, 한문을 고수해야 하는 이유는 한문이 없어졌을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이다.

(나)에 따르면, 한문을 고수해야 하는 이유는 한문이 없어졌을 때 28자의 언문만으로 관리가 되어 출세한다면, 결국 아무도 성리학을 궁구하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1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