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1 5급 언어논리 우책형 34번 해설 – 개화식물 단일식물 광주기 개화 추론

개요

다음은 2011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우책형 3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34.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없는 것은?

대부분의 개화식물은 1년 중 특정한 기간에만 꽃을 피운다. 계절의 변화가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는 190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다. 1918년경의 여러 실험을 통해 개화식물이 낮 혹은 밤의 길이 변화 즉 광주기의 변화에 의하여 유도되는 생체 반응성인 광주기성(光周期性)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개화식물 중에는 낮의 길이 즉 일장이 최대 일장보다 짧을 때 개화하는 ‘단일식물’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단일식물의 최대 일장이 15시간이라면, 낮시간이 이보다 짧아졌을 때 개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들은 개화식물의 잎을 제거하면 광주기의 변화에 반응하지 못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개화식물은 낮의 길이를 감지하여 꽃을 피울까, 밤의 길이를 감지하여 꽃을 피울까? 1938년에 연구자들은 낮시간과 밤시간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되었다. 단일식물인 도꼬마리는 최대 일장이 15.5시간인데 24시간의 낮시간과 9시간의 밤시간이라는 광주기 조건에서는 개화했으나, 16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이라는 조건에서는 개화하지 않았다. 또 최대 일장보다 짧은 4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에서도 개화하지 않았다. 한편 16시간의 낮시간과 32시간의 밤시간에서는 개화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식물의 개화에는 밤의 길이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주기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해졌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단일식물의 경우 개화에 충분한 밤시간을 준 광주기 조건이라 하더라도, 밤시간 중간에 잠깐씩 적색 섬광을 비춰 밤시간이 중단된 경우 개화기가 되어도 꽃이 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개화식물로부터 빛을 감지하는 물질인 피토크롬을 찾아냈다.

① 피토크롬은 적색 섬광을 감지한다.

② 단일식물의 최대 일장은 계절에 따라 다르다.

③ 단일식물의 개화는 잎이 광주기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④ 적색 섬광을 비추는 것은 단일식물의 밤시간을 중단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⑤ 도꼬마리의 실험에서 빛을 쪼이는 총 시간의 길이는 개화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아니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피토크롬은 적색 섬광을 감지한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단일식물의 경우 개화에 충분한 밤시간을 준 광주기 조건이라 하더라도, 밤시간 중간에 잠깐씩 적색 섬광을 비춰 밤시간이 중단된 경우 개화기가 되어도 꽃이 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개화식물로부터 빛을 감지하는 물질인 피토크롬을 찾아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단일식물의 최대 일장은 계절에 따라 다르다.

단일식물인 도꼬마리는 최대 일장이 15.5시간인데 24시간의 낮시간과 9시간의 밤시간이라는 광주기 조건에서는 개화했으나, 16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이라는 조건에서는 개화하지 않았다.

단일식물인 도꼬마리는 최대 일장은 15.5시간으로,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지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단일식물의 개화는 잎이 광주기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단일식물인 도꼬마리는 최대 일장이 15.5시간인데 24시간의 낮시간과 9시간의 밤시간이라는 광주기 조건에서는 개화했으나, 16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이라는 조건에서는 개화하지 않았다. 또 최대 일장보다 짧은 4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에서도 개화하지 않았다. 한편 16시간의 낮시간과 32시간의 밤시간에서는 개화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식물의 개화에는 밤의 길이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주기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해졌다.
24시간의 낮시간과 9시간의 밤시간 개화
16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 개화 X
20시간의 낮시간과 8시간의 밤시간 개화 X
16시간의 낮시간과 32시간의 밤시간 개화

단일식물의 개화는 잎이 광주기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적색 섬광을 비추는 것은 단일식물의 밤시간을 중단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식물의 개화에는 밤의 길이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주기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해졌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단일식물의 경우 개화에 충분한 밤시간을 준 광주기 조건이라 하더라도, 밤시간 중간에 잠깐씩 적색 섬광을 비춰 밤시간이 중단된 경우 개화기가 되어도 꽃이 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연구자들은 개화식물로부터 빛을 감지하는 물질인 피토크롬을 찾아냈다.

단일식물의 개화에 밤의 길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적색 섬광을 비추는 것은 단일식물의 밤시간을 중단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에 충분한 밤시간을 준 광주기 조건이라 하더라도, 꽃이 피지 않는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도꼬마리의 실험에서 빛을 쪼이는 총 시간의 길이는 개화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아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단일식물의 개화에는 밤의 길이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주기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해졌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1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