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7번 해설 – 물체 거리 판단 추론 강화 약화 문제

개요

다음은 2018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17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7. 다음 글의 주장을 강화하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우리는 물체까지의 거리 자체를 직접 볼 수는 없다. 거리는 눈과 그 물체를 이은 직선의 길이인데, 우리의 망막에는 직선의 한쪽 끝 점이 투영될 뿐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물체까지의 거리 판단은 경험을 통한 추론에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보아야 한다. 예컨대 우리는 건물, 나무 같은 친숙한 대상들의 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이들이 주변 배경에서 얼마나 공간을 차지하는지 등을 경험을 통해 이미 알고 있다. 우리는 물체와 우리 사이에 혹은 물체 주위에 이런 친숙한 대상들이 어느 정도 거리에 위치해 있는지를 우선 지각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그 물체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추론하게 된다. 또한 그 정도 떨어진 다른 사물들이 보이는 방식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그보다 작고 희미하게 보이는 대상들은 더 멀리 떨어져 있다고 판단한다. 거리에 대한 이런 추론은 과거의 경험에 기초하는 것이다.

반면에 물체가 손이 닿을 정도로 아주 가까이에 있는 경우, 물체까지의 거리를 지각하는 방식은 이와 다르다. 우리의 두 눈은 약간의 간격을 두고 서로 떨어져 있다. 이에 우리는 두 눈과 대상이 위치한 한 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감지함으로써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게 된다. 물체를 바라보는 두 눈의 시선에 해당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은 물체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필연적으로 더 작아진다. 대상까지의 거리가 몇 미터만 넘어도 그 각의 차이는 너무 미세해서 우리가 감지할 수 없다. 하지만 팔 뻗는 거리 안의 가까운 물체에 대해서는 그 각도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 기>
ㄱ. 100미터 떨어진 지점에 민수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대상만 보이도록 두고 다른 사물들은 보이지 않도록 민수의 시야 나머지 부분을 가리는 경우, 민수는 그 대상을 보고도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판단하지 못한다.

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밤에 안개 속의 숲길을 걷다가 앞쪽 멀리서 반짝이는 불빛을 발견한 태훈이가 불빛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어렵잖게 짐작한다.

ㄷ. 태어날 때부터 한쪽 눈이 실명인 영호가 30센티미터 거리에 있는 낯선 물체 외엔 어떤 것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그 물체까지의 거리를 옳게 판단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100미터 떨어진 지점에 민수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대상만 보이도록 두고 다른 사물들은 보이지 않도록 민수의 시야 나머지 부분을 가리는 경우, 민수는 그 대상을 보고도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판단하지 못한다.

위 글에 따르면, 우리가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 판단은 과거의 경험을 통한 추론에 의해 이루어진다. 과거의 경험으로 지각된 친숙한 대상을 통해 물체가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추론하게 된다.

그런데 보기와 같이 친숙한 대상들이 보이지 않도록 시야를 가리고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대상만을 보이도록 한다면, 민수는 그 대상을 보고도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판단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밤에 안개 속의 숲길을 걷다가 앞쪽 멀리서 반짝이는 불빛을 발견한 태훈이가 불빛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어렵잖게 짐작한다.

위 글에 따르면, 물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경험으로 지각된 친숙한 대상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캄캄한 밤에 안개 속에서 태훈이에게 친숙한 대상은 존재하기 않기 때문에 불빛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짐작할 수 없다.

물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추론하는 또 다른 방법은 우리의 두 눈과 대상이 위치한 한 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대상까지의 거리가 몇 미터만 넘어도 그 각의 차이는 너무 미세해서 우리는 그 거리를 감지할 수 없다. 보기에 따르면, 태훈이는 앞쪽 멀리서 반짝이는 불빛을 발견했다고 하므로 태훈이는 불빛이 있는 곳까지의 거리를 짐작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태어날 때부터 한쪽 눈이 실명인 영호가 30센티미터 거리에 있는 낯선 물체 외엔 어떤 것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그 물체까지의 거리를 옳게 판단한다.

물체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추론하는 방법 중 하나는 우리의 두 눈과 대상이 위치한 한 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감지하는 것이다. 팔 뻗는 거리 안에서는 그 각도를 감지하여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보기와 같이 태어날 때부터 한쪽 눈이 실명인 영호의 경우에는 물체까지의 거리가 30센티미터 거리밖에 안 되더라도 두 눈과 대상이 위치한 한 점을 연결하는 두 직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물체까지의 거리를 판단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8 민경채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