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4번 해설 – 시의원 후보자 당선자 성비 당선율

개요

다음은 2023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3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34. 다음 <표>는 ‘갑’국 A~J지역의 시의원 후보자 및 당선자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갑’국 시의원 지역별 성별 후보자 및 당선자 수

(단위: 명)

지역 구분 후보자 당선자
성별 여성 남성 여성 남성
전체 120 699 17 165
A 37 195 8 36
B 12 64 1 18
C 7 38 1 11
D 9 50 2 12
E 5 34 0 10
F 4 19 0 6
G 34 193 4 47
H 7 43 0 12
I 3 50 1 10
J 2 13 0 3
※ 1) 여성(남성) 당선율=여성(남성) 당선자 수여성(남성) 후보자 수

2) 후보자(당선자) 성비=남성 후보자(당선자) 수여성 후보자(당선자) 수

3) 후보자(당선자) 성비는 여성 후보자(당선자)가 있는 지역만 대상으로 산출함.

① 전체 남성 당선율은 전체 여성 당선율의 2배 이하이다.

② 여성 당선율이 남성 당선율보다 높은 지역은 2개이다.

③ 당선자 성비가 가장 낮은 지역은 A이다.

④ 후보자 성비가 10 이상인 지역은 I뿐이다.

⑤ 여성 후보자가 가장 많은 지역의 여성 당선율은 남성 후보자가 가장 적은 지역의 남성 당선율보다 높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전체 남성 당선율은 전체 여성 당선율의 2배 이하이다.

전체 남성 당선율 = 165699 ≒ 23.6%

전체 여성 당선율 = 17120 ≒ 14.2%

23.6 < 14.2 × 2 = 28.4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여성 당선율이 남성 당선율보다 높은 지역은 2개이다.

A지역 여성 당선율 = 83721.6%
A지역 남성 당선율 = 3619518.5%

B지역 여성 당선율 = 112 ≒ 8.3%
B지역 남성 당선율 = 1864 ≒ 28.1%

C지역 여성 당선율 = 17 ≒ 14.3%
C지역 남성 당선율 = 1138 ≒ 28.9%

D지역 여성 당선율 = 29 ≒ 22.2%
D지역 남성 당선율 = 1250 ≒ 24%

G지역 여성 당선율 = 434 ≒ 11.8%
G지역 남성 당선율 = 47193 ≒ 24.4%

I지역 여성 당선율 = 1333.3%
I지역 남성 당선율 = 105020%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당선자 성비가 가장 낮은 지역은 A이다.

A지역 당선자 성비 = 3684.5

B지역 당선자 성비 = 181 ≒ 18

C지역 당선자 성비 = 111 ≒ 11

D지역 당선자 성비 = 122 ≒ 6

G지역 당선자 성비 = 474 ≒ 11.75

I지역 당선자 성비 = 101 ≒ 10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후보자 성비가 10 이상인 지역은 I뿐이다.

I지역 후보자 성비 = 50316.6

나머지 지역은 남성 후보자 수가 여성 후보자 수의 10배 이하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여성 후보자가 가장 많은 지역의 여성 당선율은 남성 후보자가 가장 적은 지역의 남성 당선율보다 높다.

여성 후보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A지역이다.

A지역 여성 당선율 = 83721.6%

남성 후보자가 가장 적은 지역은 J지역이다.

J지역 남성 당선율 = 31323.1%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⑤번이다.

2023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1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