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8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1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1.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불교가 삼국에 전래될 때 대개 불경과 불상 그리고 사리가 들어왔다. 이에 예불을 올리고 불상과 사리를 모실 공간으로 사찰이 건립되었다. 불교가 전래된 초기에는 불상보다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탑이 예배의 중심이 되었다.
불교에서 전하기를,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서 열반에 든 후 화장(火葬)을 하자 여덟 말의 사리가 나왔다고 한다. 이것이 진신사리이며 이를 모시는 공간이 탑이다. 탑은 석가모니의 분신을 모신 곳으로 간주되어 사찰의 중심에 놓였다. 그러나 진신사리는 그 수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 말기에는 사리를 대신하여 작은 불상이나 불경을 모셨다. 이제 탑은 석가모니의 분신을 모신 곳이 아니라 사찰의 상징적 건축물로 그 의미가 변했고, 예배의 중심은 탑에서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갔다. 삼국시대 사찰은 탑을 중심으로 하고 그 주위를 회랑※으로 두른 다음 부속 건물들을 정연한 비례에 의해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보였다. 그리하여 이 시기 사찰에서는 기본적으로 남문·중문·탑·금당·강당·승방 등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놓였다. 그리고 반드시 중문과 강당 사이를 회랑으로 연결하여 탑을 감쌌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고대국가의 신전에는 이러한 회랑이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이는 신전이 성역임을 나타내기 위한 건축적 장치가 회랑이기 때문이다. 특히 삼국시대 사찰은 후대의 산사와 달리 도심 속 평지 사찰이었기 때문에 회랑이 필수적이었다. |
※ 회랑: 종교 건축이나 궁궐 등에서 중요 부분을 둘러싸고 있는 지붕 달린 복도
① 삼국시대의 사찰에서 탑은 중문과 강당 사이에 위치한다.
② 진신사리를 모시는 곳은 탑에서 금당의 불상으로 바뀌었다.
③ 삼국시대 말기에는 진신사리가 부족하여 탑 안을 비워두었다.
④ 삼국시대 이후에는 평지 사찰과 산사를 막론하고 회랑을 세우지 않았다.
⑤ 탑을 사찰의 중심에 세웠던 것은 사찰이 성역임을 나타내기 위해서였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삼국시대의 사찰에서 탑은 중문과 강당 사이에 위치한다.
삼국시대 사찰은 탑을 중심으로 하고 그 주위를 회랑으로 두른 다음 부속 건물들을 정연한 비례에 의해 좌우대칭으로 배치하는 구성을 보였다. 그리하여 이 시기 사찰에서는 기본적으로 남문·중문·탑·금당·강당·승방 등이 남북으로 일직선상에 놓였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진신사리를 모시는 곳은 탑에서 금당의 불상으로 바뀌었다.
진신사리이며 이를 모시는 공간이 탑이다. 탑은 석가모니의 분신을 모신 곳으로 간주되어 사찰의 중심에 놓였다. 그러나 진신사리는 그 수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 말기에는 사리를 대신하여 작은 불상이나 불경을 모셨다. 이제 탑은 석가모니의 분신을 모신 곳이 아니라 사찰의 상징적 건축물로 그 의미가 변했고, 예배의 중심은 탑에서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갔다. |
진신사리를 모시는 곳은 탑에서 바뀌지 않았다.
다만 예배의 중심이 탑에서 불상을 모신 금당으로 자연스럽게 옮겨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삼국시대 말기에는 진신사리가 부족하여 탑 안을 비워두었다.
러나 진신사리는 그 수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삼국시대 말기에는 사리를 대신하여 작은 불상이나 불경을 모셨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삼국시대 이후에는 평지 사찰과 산사를 막론하고 회랑을 세우지 않았다.
삼국시대 사찰은 후대의 산사와 달리 도심 속 평지 사찰이었기 때문에 회랑이 필수적이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탑을 사찰의 중심에 세웠던 것은 사찰이 성역임을 나타내기 위해서였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모든 고대국가의 신전에는 이러한 회랑이 공통적으로 보이는데, 이는 신전이 성역임을 나타내기 위한 건축적 장치가 회랑이기 때문이다. |
탑이 아니라 회랑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8 민경채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5번 해설 – 가해자 용의자 거짓말 참 진술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4번 해설 – 음향학 두께 지름 진동수 옥타브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3번 해설 – 주주 자본주의 기업 노동자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해설 – 영희 철수 교통사고 진술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1번 해설 – 일본 회령 나운규 청진 철도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0번 해설 – 사무관 정책조정부서 출장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9번 해설 – 마키아벨리아니즘 상호작용 사기꾼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8번 해설 – 동물실험 심리적 유사성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7번 해설 – 물체 거리 판단 추론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해설 – 기계학습 지도 학습 자율 학습 딥러닝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5번 해설 – 기술의 발전 풍요 격차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4번 해설 – 루머 사회적 동조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3번 해설 – 유교 전통 갈등 공존 민주주의 조화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2번 해설 – 회전문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1번 해설 – 불교 탑 진신사리 회랑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우수 문화예술 단체 최종 선정 올림픽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9번 해설 – 도덕적 명령 의무 이성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8번 해설 – 윤리적 관점 행위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7번 해설 – 갈릴레오 망원경 목성 위성 지동설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6번 해설 – 고대 별 캐롤라인 제도 북극성 천구 북극점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5번 해설 – 체험 경험 가상현실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4번 해설 – 구글 디지털도서관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3번 해설 – 공화국 자유 자유민주주의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번 해설 – 상업적 농업 수정
- [PSAT 기출] 2018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번 해설 – 조선 후기 이앙법 양반 농민
관련 문서
- 2018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