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인책형 21번 22번 해설 – 공리주의 행복 쾌락 고통 대체가능성 논제

개요

다음은 2023년도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영역 인책형 21번 22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21~22]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공리주의에 따르면, 행복은 쾌락의 총량에서 고통의 총량을 뺀 값으로 수치화하여 나타낼 수 있고, 어떤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은 그 행위가 산출하는 행복의 증감에 의존하고, 더 큰 행복을 낳는 선택을 하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공리주의자 A는 한 개체로 인한 행복의 증감을 다른 개체로 인한 행복의 증감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대체가능성 논제를 받아들여, 육식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닭고기를 먹는 일은 닭에게 죽음을 발생시키지만, 더 많은 닭의 탄생에도 기여한다. 태어나는 닭의 수를 고려하면 육식을 위한 도축은 거기 연루된 고통까지 고려하더라도 닭 전체의 행복의 총량을 증진한다. 왜냐하면 한 동물이 일생 동안 누릴 쾌락의 총량은 고통의 총량보다 크기 때문이다.

공리주의자 B는 A의 주장이 틀렸다고 비판한다. A가 받아들이는 대체가능성 논제가 존재하지 않는 대상의 고통과 쾌락을 도덕적 판단의 근거로 삼기 때문이다.

이에 A는 두 여인의 임신에 관한 다음의 사고실험을 토대로 B의 주장을 반박한다. 갑은 임신 3개월 때 의사로부터 태아에게 심각하지만 쉽게 치유 가능한 건강 문제가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갑이 부작용 없는 약 하나만 먹으면 아이의 건강 문제는 사라진다. 을은 의사로부터 만일 지금 임신하면 아이가 심각한 건강 문제를 갖게 되지만, 3개월 후에 임신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이 상황에서 갑은 약을 먹지 않아서, 을은 기다리지 않고 임신해서 둘 다 심각한 건강 문제를 가진 아이를 낳았다고 하자. B의 주장에 따르면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갑의 경우에는 태어난 아이에게 해악을 끼쳤다고 할 수 있는 반면, 을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을이 태어난 아이에게 해악을 끼쳤다고 평가하려면 그 아이가 건강하게 태어날 수도 있었다는 전제가 필요한데, 만일 을이 3개월을 기다려 임신했다면 그 아이가 아닌 다른 아이가 잉태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A에 따르면, 갑과 마찬가지로 을도 도덕적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이 일반적인 직관이므로 이에 반하는 B의 주장은 수용하기 어렵다.

A는 B의 주장을 수용하기 어려운 이유를 미래세대에 대한 도덕적 책임 문제에서도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만일 현세대가 지금과 같은 삶의 방식을 고수한다면, 온난화가 가속되어 지구 환경은 나빠질 것이다. 그 결과 미래세대의 고통이 증가되었다면 현세대는 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이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직관이다. 그러나 B의 주장에 따르면 그렇게 평가할 수 없다. 왜냐하면 현세대가 미래세대를 고려하여 기존과 다른 삶의 방식을 취하게 되면, 현세대가 기존 방식을 고수했을 때와는 다른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미래세대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을이 태어난 아이에게 잘못을 저질렀다고 말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현세대도 미래세대가 겪는 고통에 대해 도덕적 책임이 없다고 말해야 한다. 그러나 A가 보기에 ㉠이는 수용하기 어렵다.

21. 위 글에 대한 분석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A의 주장에 따르면, 을의 행위는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가 아니다.

ㄴ. 갑의 행위에 대한 B의 도덕적 평가는 대체가능성 논제의 수용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ㄷ. B의 주장에 따르면, 을의 행위에 대한 도덕적 평가를 할 때 잉태되지 않은 존재의 쾌락이나 고통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22.위 글의 ㉠에 대한 평가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미래세대 구성원이 달라질 경우 미래세대가 누릴 행복의 총량이 변한다면, ㉠은 약화되지 않는다.

ㄴ. 아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래세대를 도덕적 고려에서 배제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면, ㉠은 약화된다.

ㄷ. 일반적인 직관에 반하는 결론이 도출된다고 해도 그러한 직관이 옳은지의 여부가 별도로 평가되어야 한다면, ㉠은 약화된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1번 문제 해설

ㄱ. A의 주장에 따르면, 을의 행위는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가 아니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행복은 쾌락의 총량에서 고통의 총량을 뺀 값으로 수치화하여 나타낼 수 있고, 어떤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은 그 행위가 산출하는 행복의 증감에 의존하고, 더 큰 행복을 낳는 선택을 하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공리주의자 A는 한 개체로 인한 행복의 증감을 다른 개체로 인한 행복의 증감으로 대체할 수 있다는 대체가능성 논제를 받아들인다.

A에 따르면, 갑과 마찬가지로 을도 도덕적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이 일반적인 직관이므로

만약 을이 3개월을 기다려 임신했다면 건강한 아이가 태어나서 이 아이가 누릴 쾌락의 총량이 고통의 총량보다 컸을 것이다.

하지만 3개월을 기다리지 않고 임신하여 심각한 건강 문제를 가진 아이가 태어나 이 아이가 누릴 고통의 총량이 쾌락의 총량보다 클 것이기 때문에 행복을 낳는 선택을 한 것이 아닌 게 되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갑의 행위에 대한 B의 도덕적 평가는 대체가능성 논제의 수용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공리주의자 B는 A의 주장이 틀렸다고 비판한다. A가 받아들이는 대체가능성 논제가 존재하지 않는 대상의 고통과 쾌락을 도덕적 판단의 근거로 삼기 때문이다.

B의 주장에 따르면 둘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갑의 경우에는 태어난 아이에게 해악을 끼쳤다고 할 수 있는 반면, 을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

갑의 경우 약의 복용에 따라 같은 대상인 아이의 행복의 총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B의 도덕적 판단은 대체가능성 논제의 수용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B의 주장에 따르면, 을의 행위에 대한 도덕적 평가를 할 때 잉태되지 않은 존재의 쾌락이나 고통을 고려해서는 안 된다.

공리주의에 따르면, 행복은 쾌락의 총량에서 고통의 총량을 뺀 값으로 수치화하여 나타낼 수 있고, 어떤 행위에 대한 도덕적 판단은 그 행위가 산출하는 행복의 증감에 의존하고, 더 큰 행복을 낳는 선택을 하는 것이 옳은 행위이다.

공리주의자 B는 A의 주장이 틀렸다고 비판한다. A가 받아들이는 대체가능성 논제가 존재하지 않는 대상의 고통과 쾌락을 도덕적 판단의 근거로 삼기 때문이다.

을이 태어난 아이에게 해악을 끼쳤다고 평가하려면 그 아이가 건강하게 태어날 수도 있었다는 전제가 필요한데, 만일 을이 3개월을 기다려 임신했다면 그 아이가 아닌 다른 아이가 잉태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B는 A가 주장하는 대체가능성 논제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B의 주장에 따르면, 을이 기다리지 않고 임신한 아이와 3개월을 기다려 임신한 아이는 다르기 때문에, 기다리지 않고 임신한 아이가 누릴 행복의 총량이 3개월을 기다려 임신한 아이가 누릴 행복의 총량보다 작다고 하여 을이 도덕적 잘못을 저질렀다고 말할 수 없다는 게 B의 입장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2번 문제 해설

㉠은 B의 주장에 대해 A가 수용할 수 없다는 내용이므로 결국 A의 주장이라고 볼 수 있다.

ㄱ. 미래세대 구성원이 달라질 경우 미래세대가 누릴 행복의 총량이 변한다면, ㉠은 약화되지 않는다.

A의 주장에 따르면,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환경이 나빠지고, 그 결과 미래세대의 고통이 증가된다면 현세대에 도덕적 책임이 있다.

반면 B의 주장에 따르면, 온난화로 지구의 환경이 나빠지는 것을 고려하여 다른 삶의 방식을 취하게 되면, 현세대가 기존 방식을 고수했을 때와는 다른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미래세대가 생겨난다. 즉 이들은 지구의 환경이 나빠져 고통이 증가될 미래세대와 다르다. 대체가능성 논제를 받아들이지 않는 B 입장에서는 현세대는 미래세대가 겪는 고통에 대해 도덕적 책임이 없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미래세대 구성원이 달라진다는 것은 B의 주장이다. B의 주장에 따르면 미래세대가 누릴 행복의 총량에 상관 없이 고통이 증가될 미래세대와 다른 구성원이 이루어진 미래세대는 다르기 때문에 현세대에게 도덕적 책임이 없다.

미래세대 구성원이 달라질 경우 미래세대가 누릴 행복의 총량이 변한다고 해도 B의 주장은 강화도, 약화도 되지 않는다. 그에 따라 B의 주장과 대립하는 A의 주장 역시 약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아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래세대를 도덕적 고려에서 배제하는 것이 불합리하다면, ㉠은 약화된다.

아직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미래세대를 도덕적 고려에서 배제하는 것은 대체가능성 논제를 받아들이지 않는 B의 주장이다. 따라서 이것이 불합리하다는 것은 A의 주장이다.

따라서 ㉠은 약화되지 않는다.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일반적인 직관에 반하는 결론이 도출된다고 해도 그러한 직관이 옳은지의 여부가 별도로 평가되어야 한다면, ㉠은 약화된다.

일반적인 직관을 따르는 것은 A의 주장이다. 이러한 직관이 옳은지의 여부가 별도로 평가되어야 한다면 B의 주장이 강화되는 것이고, 따라서 ㉠은 약화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