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5번 해설 – 인구 가구 변화

개요

다음은 2023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3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35. 다음 <표>는 ‘갑’마을의 2013~2022년 인구 및 가구 변화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인구 및 가구 변화

(단위: 명, 가구)

구분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외국인 인구 고령 인구 가구
2013 209 184 21 30 142
2014 249 223 22 34 169
2015 271 244 24 37 185
2016 280 252 26 38 190
2017 287 257 27 40 193
2018 289 261 25 42 196
2019 294 264 28 44 198
2020 303 270 32 46 204
2021 333 297 33 47 226
2022 356 319 35 53 246
※ 총인구=남성 인구+여성 인구

① 가구당 여성 인구는 2015년 이후 매년 감소하였다.

② 전년 대비 2022년 고령 인구 증가율은 전년 대비 2022년 총인구 증가율보다 높다.

③ 전년 대비 외국인 인구가 감소한 해와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이 가장 작은 해는 같다.

④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율은 2014년이 가장 높다.

⑤ 전년 대비 가구 수 증가폭이 가장 큰 해와 전년 대비 남성 인구 증가폭이 가장 큰 해는 같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가구당 여성 인구는 2015년 이후 매년 감소하였다.

구분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외국인 인구 고령 인구 가구
2013 209 184 21 30 142
2014 249 223 22 34 169
2015 271 244 24 37 185
2016 280 252 26 38 190
2017 287 257 27 40 193
2018 289 261 25 42 196
2019 294 264 28 44 198
2020 303 270 32 46 204
2021 333 297 33 47 226
2022 356 319 35 53 246

2015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44}}{\text{185}}\) ≒ 1.32

2016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52}}{\text{190}}\) ≒ 1.33

2017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57}}{\text{193}}\) ≒ 1.33

2018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61}}{\text{196}}\) ≒ 1.33

2019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64}}{\text{198}}\) ≒ 1.33

2020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70}}{\text{204}}\) ≒ 1.32

2021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297}}{\text{226}}\) ≒ 1.31

2022년 가구당 여성 인구: \(\dfrac{\text{319}}{\text{246}}\) ≒ 1.29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전년 대비 2022년 고령 인구 증가율은 전년 대비 2022년 총인구 증가율보다 높다.

구분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외국인 인구 고령 인구 가구
2013 209 184 21 30 142
2014 249 223 22 34 169
2015 271 244 24 37 185
2016 280 252 26 38 190
2017 287 257 27 40 193
2018 289 261 25 42 196
2019 294 264 28 44 198
2020 303 270 32 46 204
2021 333 297 33 47 226
2022 356 319 35 53 246

전년 대비 2022년 고령 인구 증가율 = \(\dfrac{\text{53-47}}{\text{47}}\) ≒ 12.8%

전년 대비 2022년 총인구 증가율 = \(\dfrac{\text{(356+319)-(333+297)}}{\text{333+297}}\) = \(\dfrac{\text{45}}{\text{630}}\) ≒ 7.1%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전년 대비 외국인 인구가 감소한 해와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이 가장 작은 해는 같다.

구분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외국인 인구 고령 인구 가구
2013 209 184 21 30 142
2014 249 223 22 34 169
2015 271 244 24 37 185
2016 280 252 26 38 190
2017 287 257 27 40 193
2018 289 261 25 42 196
2019 294 264 28 44 198
2020 303 270 32 46 204
2021 333 297 33 47 226
2022 356 319 35 53 246

전년 대비 외국인 인구가 감소한 해는 2018년이다. 27명 → 25명

2018년의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은 남성 287 → 289, 2명, 여성 257 → 261, 4명, 총 6명이다.

연도별 전년 대비 남성 인구 증가폭만 따져봐도 2019년을 제외하곤 6명을 훌쩍 넘는다.

2019년의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은 남성 289 → 294, 5명, 여성 261 → 264, 3명, 총 8명이다.

따라서 2018년은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이 가장 작은 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율은 2014년이 가장 높다.

구분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외국인 인구 고령 인구 가구
2013 209 184 21 30 142
2014 249 223 22 34 169
2015 271 244 24 37 185
2016 280 252 26 38 190
2017 287 257 27 40 193
2018 289 261 25 42 196
2019 294 264 28 44 198
2020 303 270 32 46 204
2021 333 297 33 47 226
2022 356 319 35 53 246

2014년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율 = \(\dfrac{\text{(249-209)+(223-184)}}{\text{(209+184)}}\) = \(\dfrac{\text{79}}{\text{393}}\) ≒ 20%

2014년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는 79명, 약 80명이다. 2015년 이후 전년 대비 총인구 증가폭를 빠르게 살펴보면 80명을 넘는 연도는 없다. 더군다나 증가율이기 때문에 2014년 증가율인 20%를 넘기 위해서는 분모에 해당하는 총인구가 증가한 만큼 분자인 총인구 증가폭은 더 늘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전년 대비 가구 수 증가폭이 가장 큰 해와 전년 대비 남성 인구 증가폭이 가장 큰 해는 같다.

구분

연도

남성 인구 여성 인구 외국인 인구 고령 인구 가구
2013 209 184 21 30 142
2014 249 223 22 34 169
2015 271 244 24 37 185
2016 280 252 26 38 190
2017 287 257 27 40 193
2018 289 261 25 42 196
2019 294 264 28 44 198
2020 303 270 32 46 204
2021 333 297 33 47 226
2022 356 319 35 53 246

전년 대비 가구 수 증가폭이 가장 큰 해는 2014년으로 27명이다.

전년 대비 남성 인구 증가폭이 가장 큰 해는 역시 2014년으로 40명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①번이다.

2023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